![지난 8일 이란 수도 테헤란의 남쪽에 있는 나탄즈 핵 시설 인공위성 사진.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4/21dae024-6fc7-40da-b3d0-4d9f05c56461.jpg)
지난 8일 이란 수도 테헤란의 남쪽에 있는 나탄즈 핵 시설 인공위성 사진. [AP=연합뉴스]
이어 "첫 번째 단계로 천연 우라늄을 사용해 금속 우라늄을 생산할 것"이며 "금속 우라늄 생산을 위한 장비 설치는 4~5개월 안에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란은 IAEA에 새로운 원료 연구·개발 계획을 알렸고, IAEA 사찰단이 3일 전 생산공장을 방문했다고도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은 가리바바디 대사가 언급한 '발전된 형태의 연료'란 20% 농축된 금속 우라늄을 말한다고 전했다.
IAEA사무총장도 "이란이 이스파한의 한 공장에서 금속우라늄 제조에 필요한 장비 조립에 들어갔다"는 내용의 기밀 보고서를 회원국들에 보냈다고 WSJ는 덧붙였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이란의 금속우라늄 제조 착수는 이란핵합의(JCPOA) 위반이라고 일제히 지적했다. 이란은 지난 2015년 미국·영국·프랑스·독일·러시아·중국과 체결한 JCPOA에 따라 15년간 금속 우라늄을 제조하거나 획득할 수 없다. 그러나 "연구·개발에는 제한이 없다"게 이란의 주장이다.
오는 20일 조 바이든 차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핵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의도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미국은 2018년 핵 합의 탈퇴 이후 이란에 원유 수출을 봉쇄하는 등 압박을 가해왔다. 이란은 바이든 당선인이 취임하면 핵 협상을 통해 제재를 완화하고, 미국의 핵 합의 복귀를 이끌어 내려 한다는 것이다.
이미 이란은 지난해 11월 자국 핵 과학자 암살과 지난 3일 거셈 솔레이마니 사령관 사망 1주기를 이유로 미국에 보복을 경고하는 등 존재감을 과시해왔다.
지난 4일에는 우라늄 농축 농도를 핵 합의에서 제한한 3.67%에서 20%로 높이겠다고 선언했고, 같은 날 한국 유조선도 나포했다. 한국 선박이 여러 차례 해양오염을 일으켰다는 신고를 받고 사법 절차에 따라 처리했을 뿐이라는 게 이란의 주장이다. 그러나 CNN은 미국과 이란이 대치하는 상황에서 한국이 '인질'로 잡혔다고 해석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