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지난 2일 국회가 양도세 비과세 기준을 높인 소득세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고가주택 기준 금액은 9억원에서 12억원으로 바뀌었다. 2008년 이후 13년째 유지됐던 고가주택 기준이 상향된 것이다.
기준을 올린 건 집값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11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3729만원을 기록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의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6억708만원)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올랐다. 집권 4년 6개월 만에 서울에서 거래되는 평균적인 아파트들이 고가주택이 된 것이다.
급등한 집값에 서울 평균 아파트가 고가주택
이번에 양도세 기준을 시가 12억원으로 올린 것까지 합하면 양도세·종부세·재산세를 모두 다른 금액을 기준으로 내게 됐다. 공시가격 10억원 상당의 아파트의 경우 종부세법에서는 고가주택이 아니라 종부세를 내지 않아도 되지만, 지방세법에서는 고가주택으로 보고 재산세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식이다.

뒤죽박죽 고가주택 기준.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땜질식 조정…그때 그때 다른 고가주택 기준
이처럼 고가주택 기준이 난수표처럼 복잡해지면서 통일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주택가격을 잡기 위한 수단으로 조세정책을 쓰다 보니 결국 정책과 세제가 복잡해지고 예측 가능성이 떨어져서 정책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며 “공시가격, 실거래가, 시가 등 부동산 관련 정책을 만들 때 쓰는 여러 기준을 단일 기준으로 맞추고 산출방식을 간단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우철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는 “무엇보다 납세자의 납부 능력을 고려한 세금부과가 중요한데 이슈가 제기될 때마다 정치적 고려에 따라 과표를 조정하고 있다”며 “이런 미세조정이 아니라 부동산세 전반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