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자리가 양적으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질적으로는 완전한 회복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장씨와 같은 만성적인 실업 인구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여기에 단기 일자리 위주로 취업자 수가 늘고, 자영업자의 감소세는 지속하고 있어서다.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727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36만9000명 늘며 수치상으로는 ‘고용한파’에서 벗어나는 모양새다. 여기에는 연간 취업자가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크게 줄어든(21만9000명 감소) 2020년의 기저효과가 작용했다.
①'쉬었음', 구직단념자 사상 최대

만성적 실업 인구는 사상 최대.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구직단념자도 전년 대비 2만3000명 늘어난 62만8000명으로 관련 통계를 개편한 2014년이래 최대치를 찍었다. 구직단념자는 취업을 원하고 취업 가능성이 있지만, 지난 1년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을 뜻한다. 최대 기록을 고쳐 쓴 두 지표는 국내에 만성적 실업 인구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여기에 취업을 희망하지만 지난 4주 내 구직활동이 없었던 ‘잠재구직자’(182만1000명), 최근 4주 이내에 구직 노력을 했지만 당장 일을 시작하긴 어려운 ‘잠재취업가능자’(7만7000명) 역시 관련 통계가 있는 2015년 이후 최대다. 이들은 모두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통계상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다. 일종의 ‘그림자 실업’인 셈이다.

구직활동 멈춘 ‘잠재구직자’도 역대 최대.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지난해 실업률은 3.7%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3.8%)보다 낮아졌다. 그러나 이들을 포함해 계산한 확장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13.3%로 2019년(11.8%)보다 되려 크게 올라갔다. 추경호 의원은 “일할 능력을 갖춘 경제주체가 일하지 않으면 그만큼 우리 경제에는 손해”라며 “정부가 재정을 쏟아부은 단기 일자리를 대거 늘려놓고 고용이 회복됐다고 진단하는 것은 현실과 동떨어진 자화자찬”이라고 비판했다.
②36시간 미만 일자리가 늘었다
이처럼 단기 일자리가 늘어나는 추세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부터 2년째 이어지고 있다. 36시간 미만 일하는 근로자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9.9%에서 지난해 24.6%로 4.7%포인트나 증가했다.

단기 일자리 늘고.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더 일하고 싶다”는 주 36시간 미만 근로자 수.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③자영업자 비중 20% 아래로 떨어질 듯
이는 자영업자가 주로 포진한 대면 서비스 업종이 어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도소매업 취업자는 15만명, 숙박ㆍ음식업은 4만7000명 각각 줄었다. 이 추세라면 전체 취업자에서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20% 아래로 떨어질 전망이다. 2010년 23.5%였던 이 비중은 꾸준히 줄어 지난해 20.2%까지 떨어졌다.

자영업자 감소세는 지속.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해 고용시장에 회복 신호가 나타났지만, 아직은 과도기적 일자리에 머무는 사람이 많고, 질적으로는 부족한 면이 많다”며 “고용시장의 구조적 요인, 기업의 인건비 부담,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기 부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이어 “올해는 지난해 취업자 수 급증에 따른 ‘역기저효과’로 고용 관련 지표가 기대에 못 미칠 수 있다”며 “양질의 일자리는 기업에서 나오는 만큼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신산업에 대한 규제를 풀어야 하는데, 주요 대선 후보들이 이를 간과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