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비가 치솟으며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 쿠팡이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26/2bc4c712-9809-4c0f-82e0-af154fe201e6.jpg)
배달비가 치솟으며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 쿠팡이츠]
"폭설 때는 배달비 1만원 넘기도"
배달비 논란이 커지자 정부가 긴급 처방을 내놨다. 매월 배달비를 공개‧비교하는 ‘배달비 공시제’다. 당장 다음 달 서울 등 일부 지역에 우선 적용한다. 공개항목은 배달플랫폼별 배달비, 거리별 할증요금, 배달방식별(묶음· 단건) 수수료, 최소주문액 등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은 지난 21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 참석해 “2월부터는 소비자단체협의회가 매달 1회 배달수수료 현황을 조사해 소비자원 홈페이지 등에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달 기사 부족에 단건 배송 경쟁까지
![배달 앱의 한 음식점 배달비가 6000원이다. [배달앱 캡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26/c76225fa-5b91-4d9b-b08c-fe36407faa3b.jpg)
배달 앱의 한 음식점 배달비가 6000원이다. [배달앱 캡쳐]
여기에 배달플랫폼 간 출혈 경쟁 영향도 있다. 2019년 5월 쿠팡이츠가 출시하면서 ‘단건 배달’을 앞세우자 배달의 민족이 가세하며 경쟁 구도가 조성됐다. 이전까지는 배달 기사 한명이 한 번에 3~4건을 처리했다. 한 번에 1건만 처리하면 공급 감소 효과가 난다. 배달 기사 입장에서는 같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건수가 줄어들면서 수익이 줄게 된다. 부족한 수익은 배달비 인상으로 이어진다.
배달 기사의 고용보험 도입도 배달비 인상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7월 특별고용지원업종 직종의 산재보험이, 올해부터 고용보험 가입이 의무화됐다. 매월 산재보험료 3만원 여 원과 사업주와 배달기사가 각각 매출의 0.7%를 내야 한다. 익명을 원한 배달 업계 관계자는 “없던 지출이 생기면서 업체 입장에선 배달 기사의 수익을 보전해줘야 하는 데다 ‘투잡’을 뛰거나 신용불량 등으로 보험 가입이 어려운 배달 기사들의 이탈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배달비 공시제가 되레 소상공인과 소비자에게 피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배달비는 음식점주와 고객이 나눠서 내는 구조다. 음식점주는 배달플랫폼에 배달을 중개해준 중개비를 내는데 이게 배달플랫폼의 수익이다. 실제 배달비를 얼마를 낼지는 음식점주가 정한다. 예컨대 배달비가 5000원이라면 음식점주가 2000원, 고객이 3000원을 낼 수도 있고 음식점주가 0원, 고객이 5000원을 모두 낼 수도 있다.

온라인 음식서비스 거래액
공시제로 소상공인과 소비자 부담 커질 수도
전문가들은 배달비 근본 원인인 공급 부족을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실제 배달플랫폼의 포장 주문 건수는 크게 늘고 있다. 배달 앱 요기요의 포장 주문 건수(지난해 11월 기준)는 1년 새 90배 늘었다.
배달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도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예컨대 배달비가 비싼 단건 배달과 시간이 더 걸려 배송되더라도 배달비가 저렴한 다건 배달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배달비 인상으로 소비자가 부담이 커지면 결국 배달 수요 감소로 이어지고 배달 시장 전체에 타격으로 돌아갈 수 있는 만큼 과당 경쟁보다 근본 원인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