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T 멤버 재현은 유료 팬 플랫폼 버블에서 소통을 성의없게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버블은 메시지나 사진 외부 유출을 막고 있어 문제를 제기한 팬이 아이돌의 얼굴을 가렸다. [사진 팬커뮤니티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12/ed289195-adc6-44dd-bc3c-643a188b6be1.jpg)
NCT 멤버 재현은 유료 팬 플랫폼 버블에서 소통을 성의없게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버블은 메시지나 사진 외부 유출을 막고 있어 문제를 제기한 팬이 아이돌의 얼굴을 가렸다. [사진 팬커뮤니티 캡처]
“대충 찍은 셀카 한장 받자고 4500원 낸 거냐”
지난달 13일 팬 플랫폼 ‘디어유 버블’에서 보이그룹 엔시티(NCT) 재현을 구독하는 팬들 사이에서는 작은 소동이 벌어졌다. 버블은 월 4500원을 내면 아이돌 멤버가 개인 메시지를 보내주는 구독 서비스다. 이날 재현은 무덤덤한 셀카 한 장을 올렸다. 3월 26일 미용실 거울 앞에서 머리를 하면서 올린 사진에 이어 19일 만이었다. 이 사진에 대해 팬들은 “성의 없다”, “돈값 하라”는 불만을 쏟아냈다. 걸그룹 레드벨벳의 조이도 지난해 한 달간 메시지를 보내지 않자 그를 구독하는 팬들로부터 “팬들에게 버블 할 시간이 그렇게 없냐”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누가 메시지 많이 보냈나…‘버블 줄 세우기’
때로는 팬들 사이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현재 팬들 사이에서는 ‘버블 줄 세우기’ 논쟁이 한창이다. 한 달간 보내는 버블 횟수를 근거로 어떤 멤버가 팬을 가장 아끼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겠다는 얘기다. 메시지 빈도와 애정이 정비례하는지는 당연히 알 수가 없어 결론 없는 논쟁만 계속되고 있다.
![SM엔터테인먼트의 팬플랫폼 버블. 아티스트와 소통하려면 월 구독권을 사야 한다. 그룹이더라도 멤버별로 결제해야 이용할 수 있다. 에스파의 윈터를 구독하면 메시지가 온다. [사진 버블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12/4b0b14e0-e13b-4ad5-b8cd-37543e573f6b.jpg)
SM엔터테인먼트의 팬플랫폼 버블. 아티스트와 소통하려면 월 구독권을 사야 한다. 그룹이더라도 멤버별로 결제해야 이용할 수 있다. 에스파의 윈터를 구독하면 메시지가 온다. [사진 버블 캡처]
NCT 팬인 A씨는 “한 달에 많아야 두세 번 문자를 받으니, 서운한 마음이 들어 구독을 해지했다”며 “돈을 냈는데도, 언제 버블이 올지 목 빠지게 기다려야 하나 싶다”고 말했다. 팬 B씨는 “내가 구독하는 아티스트는 메시지를 성실하게 보내는데, 그렇지 않은 멤버와 수익을 똑같이 나눠 갖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팬덤 불만 속에서도 구독 유지율 90%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버블에서 2인 이상을 구독하면 할인을 받기 때문에 구독자는 평균 2명 이상의 이용권을 구매한다. [사진 버블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12/f9a05247-5761-43fb-9b07-7801baba52c0.jpg)
버블에서 2인 이상을 구독하면 할인을 받기 때문에 구독자는 평균 2명 이상의 이용권을 구매한다. [사진 버블 캡처]

K팝 산업의 미래 먹거리 팬플랫폼.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팬 서비스’와 ‘감정 노동’ 사이
![위버스의 경우 소통 자체는 무료지만, 굿즈를 지나치게 비싸게 판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위버스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12/4297ff86-8f3a-4d6d-88a1-145d55be5a5e.jpg)
위버스의 경우 소통 자체는 무료지만, 굿즈를 지나치게 비싸게 판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위버스 캡처]
그런데 이 ‘소통’에 얼마의 값을 매겨야 적당할지는 모호하다. 음원 앨범, 공연 티켓, 티셔츠 굿즈 등 원가와 마진을 계산할 수 있는 상품과 다르게 소통의 적정 가격에 대한 공감대는 아직 형성 전이기 때문이다. 어떤 방식의 소통이 바람직한지를 판단하기도 어렵다.
아티스트마다 성향이 다른데 모두에게 같은 방식의 소통을 강요하는 점도 문제다. 타고나길 말이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팬덤에 대한 고마움이 있어도 표현에 서툴고 과묵한 사람도 있다. 소녀시대 멤버 태연은 팬들과 라이브 방송 도중 버블에 관해 설명하며 “나만 열심히 하면 된다”며 부담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시대를 지나면서 아이돌 노동 강도가 세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K팝 아이돌이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 유튜브·틱톡의 자체 제작 콘텐트 등 디지털 소통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관리 플랫폼이 늘어나면 그만큼 공급하는 콘텐트도 늘어나 결국 노동시간 연장으로 연결된다.
김헌식 대중문화 평론가는 “팬의 입장에서는 좋을 수 있지만, 바쁜 스케줄을 소화하고 버블도 자주 보내야 하는 아이돌 입장에서는 엄청난 감정노동”이라고 말했다. 또 “어느 스타가 몇 번 보내고 말고를 비판할 게 아니라 애초에 왜 친밀감이라는 감정이 유료화된 건지 성찰할 필요가 있다”며 “소통이 돈이 개입되는 순간 의무화된다면, 과연 진정한 소통일지, 유료화될 수 있는 서비스와 없는 서비스의 차이는 무엇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