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는 새 정부의 조세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법인세 세제 개선 7대 과제'를 지난 12일 기획재정부에 전달했다고 15일 밝혔다.

전경련 제공
전경련은 한국의 법인세 부담 수준이 경쟁국에 비해 높아 기업 경쟁력이 위축된다고 주장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법인세 부담률(GDP 대비 법인세수 비중)은 3.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 중 6번째로 높다. 법인세 의존도(전체세수 대비 법인세수 비중)은 19.6%로, OECD 국가 중 4번째다.
전경련은 "한국의 법인세 부담률과 법인세 의존도 모두 OECD 평균(법인세 부담률 2.6%, 법인세 의존도 13.0%)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며 "기업의 법인세 부담을 낮추면 경제성장이 촉진됨에 따라 세수 확보 안정성이 오히려 더 커진다"고 주장했다.

전경련 제공
전경련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OECD 국가는 법인세 최고세율(중앙정부 기준)을 평균 2.2%포인트 인하했다. 주요 7개국(G7)은 평균 5.8%포인트 인하했다.
반면 한국은 2018년 과세표준 3000억원 초과 구간을 신설해 과표구간을 종전 3단계에서 4단계로 늘렸고, 법인세 최고세율을 22.0%에서 25.0%로 올렸다. 전경련은 "OECD 국가 중 과세표준 구간이 4단계 이상인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며 "현행 법인세 과세체계를 2단계로 단순화하고, 최고세율을 25%에서 20%로 낮춰야 한다"고 건의했다.
아울러 기업의 R&D 등에 대한 세액공제 및 비과세·감면을 확대해도 최저한세(법인이 납부해야 할 최소한의 법인세) 납부로 인해 세액 공제 혜택을 온전히 다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해 세액공제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경련은 "중소기업-대기업 간의 세제 지원 수준 격차가 큰 것이 우리나라 제도의 문제점"이라며 "2013년 이후 지속해서 축소돼 온 대기업 R&D 세액공제율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기업의 R&D 세액공제율(당기투자분 기준)을 0∼2%에서 3∼6%로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