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8시(현지시간) 제14차 브릭스 정상회의가 화상으로 열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가운데 위),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자이르 보우소나르 브라질 대통령이 참석했다. [신화통신=연합]](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11/28/62bd1b91-4693-43c8-b325-098f6fbbe0a0.jpg)
23일 오후 8시(현지시간) 제14차 브릭스 정상회의가 화상으로 열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가운데 위),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자이르 보우소나르 브라질 대통령이 참석했다. [신화통신=연합]
브릭스 ‘베이징 선언’…“다자주의 강화”
![브릭스는 23일 ‘글로벌 발전을 위한 새 시대 창조’라는 주제로 23일 화상 정상회의를 열었다. [신화통신=연합]](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11/28/6ac99aa3-fcf1-472e-a894-d463398469a7.jpg)
브릭스는 23일 ‘글로벌 발전을 위한 새 시대 창조’라는 주제로 23일 화상 정상회의를 열었다. [신화통신=연합]
7개 항목 75개 조항으로 구성된 선언문은 신흥국들의 국제 의사 결정 참여와 다자주의 강화를 전면에 내세웠다. 선언문은 “각 국은 상호 정당한 이익과 관심을 존중하고 다자기구를 통한 투명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중시해야 한다”며 “유엔 중심의 다자주의 체제를 수호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개발도상국들의 참여를 확대해 선택적이고 이중적인 잣대는 피해야 한다”며 선진국 위주의 의사 결정 주도 관행을 비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대화로 풀어야”…원론적 수준
세계 평화와 안정을 강조한 항목에는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선언문은 “우리는 완전한 비핵화를 포함한 한반도의 모든 관련 문제를 양자ㆍ다자간 협상을 통해 해결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 것을 지지한다”며 “포괄적, 외교적, 정치적 해법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협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큰 틀만 제시했을 뿐 구체적인 내용은 없었다.
중·러 미국 패권주의 겨냥 “세계가 불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정상회의에서 “냉전적 사고와 집단 대결을 지양하고 독자 제재와 제재 남용에 반대해야 한다”며 미국을 비판했다. [신화통신=연합]](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11/28/7f4b3baf-d34b-45a9-96c7-0b94d7b7ea4a.jp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정상회의에서 “냉전적 사고와 집단 대결을 지양하고 독자 제재와 제재 남용에 반대해야 한다”며 미국을 비판했다. [신화통신=연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서방 국가들의 대러시아 금융 제재를 비난했다. 푸틴 대통령은 “신뢰할 수 있는 국제 결제를 위한 대안 메커니즘을 개발 중”이라며 “정치적 동기의 제재와 경쟁자에 압력을 가하는 현재 메커니즘은 글로벌 비즈니스를 저해하고 경제 논리에도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 등 서방국가들의 대러시아 금융 제재를 비판했다. [AP=연합]](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11/28/2267bfec-bfdc-4b50-98eb-7e953abc766e.jpg)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 등 서방국가들의 대러시아 금융 제재를 비판했다. [AP=연합]
한편 24일 아르헨티나, 이집트 등 20여 개 국가를 초청해 ‘브릭스+’ 고위급 화상 회담을 연다. 중국 인민일보는 “세계적인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간의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전했다.
베이징=박성훈 특파원 park.seongh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