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충남 예산의 한 리조트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워크숍 비공개 자유토론에서 문정복 의원은 마이크를 잡고 ‘커밍아웃’을 했다. 6ㆍ1 지방선거 패배의 한 원인으로 꼽혀 이날 워크숍에서도 해체론이 대두된 강경파 초선 모임 처럼회를 적극 두둔하기 위해서였다. 문 의원은 처럼회 멤버지만, 그간 회원 활동을 드러내놓고 하진 않았다. 현장에 있던 동료 의원은 “문 의원이 처럼회원인지 처음 알았다”며 “처럼회가 최근 비판을 많이 받으니깐 공개 대응에 나선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사진기자단
처럼회, 최강욱 ‘짤짤이’ 징계로 급속 재결집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최 의원의 징계 결정 후 강성 지지층은 “당이 최강욱 죽이기에 나섰다”며 폭발했다. 의원들에겐 “최강욱을 지켜라”는 문자 폭탄을 쏟아부으며 최 의원과 처럼회에 힘을 보탰다. 이에 처럼회원들은 징계 다음 날인 21일엔 차담회, 22일엔 오찬 모임을 갖고 최 의원을 위로하는 등 결속을 다졌다.
처럼회원들의 목소리도 커졌다. 김용민 의원은 지난 22일 페이스북에 “다시 횃불을 들어 야만의 시대를 청산해야 한다”고 썼다. 비교적 처럼회 노선에서 떨어져 있던 장경태 의원도 같은 날 “최 의원의 재심사를 면밀히 숙고해달라”는 글을 썼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2일 페이스북에 올린 게시글. 페이스북 캡처
내부서 꿈틀대던 해체론 꺾여…박지현의 ‘해체론’도 역효과
이는 “처럼회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주도하고, 소속 회원들이 한동훈 법무장관 인사청문회 때 보여준 모습은 국민을 실망시켰다”(강병원 의원)는 비판에 더해 지난 3일 대산회(이낙연계 모임)ㆍ광화문포럼(정세균계 모임)이 “모든 계파정치를 해체하자”(김영주 의원)며 해산한 게 영향을 미쳤다.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 뉴스1
B 의원은 “박 전 위원장이 하나부터 열까지 처럼회에 다 뒤집어씌우려는 게 어이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해체하면, 박 전 위원장 주장에 동의하는 꼴 아니냐”고 말했다.
전당대회 의식하나…“2연패 후 또 제 무덤 파기”
하지만 안병진 경희대 미래문명원 교수는 “강성 당원 눈치만 보다가 대선ㆍ지방선거를 다 져놓고도 또 강성 지지층 눈치 보며 제 무덤을 파고 있다”며 “처럼회 의원들은 기성 팬덤 정치에 편승할 게 아니라, 초선답게 미래지향적인 어젠다를 세팅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