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부터 사조 ‘해표 카놀라유’와 압착 올리브유 가격이 최고 20.8% 인상된다. 오뚜기도 최근 업소용 식용유 가격을 20% 올렸다. 대형마트 진열대의 올리브유 등 식용유.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28/f08b9021-02cd-454a-a893-13ce72ed539b.jpg)
다음 달부터 사조 ‘해표 카놀라유’와 압착 올리브유 가격이 최고 20.8% 인상된다. 오뚜기도 최근 업소용 식용유 가격을 20% 올렸다. 대형마트 진열대의 올리브유 등 식용유. [연합뉴스]
치솟는 물가가 경기 침체의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전국의 기업 10곳 중 4곳은 올해 원재료 가격이 지난해보다 20% 이상 뛰었다고 밝혔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앞으로 고용 조정이나 신규 투자 축소를 검토하고 있다는 기업도 10곳 중 2곳이 넘었다. 스태그플레이션(경기 둔화+물가 상승)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2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지역경제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는 5월 12일~6월 2일 전국 570개 업체(응답 350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가 담겼다. 설문대상은 한은이 각 지역의 경제활동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선정한 대기업(122개)과 중견·중소업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앞으로의 상황도 만만치 않을 것이란 게 기업들의 전망이다. 올해 하반기에도 물가가 오를 것이라 예상한 기업은 86%로 조사됐다. 특히 건설업(94.8%)과 서비스업(88.6%)에서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더 많았다.
더 큰 문제는 기업의 비용 증가가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데 있다. 이미 기업 10곳 중 7곳(69%)이 원재료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서비스 가격을 인상했다고 답했다. 올해 판매가격을 인상하지 않은 기업(31%) 중 올해 안에 가격 인상 계획을 가진 곳은 53%나 됐다.
다만 원재료 값이 오른 만큼 제품 가격을 올렸다는 업체는 거의 없었다. 가격을 인상한 업체 중 3분의 2는 원가 상승 중 20%만 가격에 전가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을 이끄는 건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 변수다. 응답 기업들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원재료 가격 상승(66.7%·복수응답)과 물류비 상승(36.1%), 수입 지연(18.2%) 등 공급망에 타격을 줬다고 응답했다. 응답 업체의 과반(59.1%)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올해 말까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봤지만, 내년 이후(40.3%)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 업체도 많았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물가 상승에 대응한 임금 인상이 다시 물가를 끌어올리는 ‘임금 인상-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의 악순환’ 초입에 들어왔다”며 “임금을 올린 만큼 수익성이 따라가지 못할 경우 서비스업에서는 고용이 줄어들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기업들이 느끼는 대내외 리스크를 점수(100점 만점)로 매긴 결과 경기둔화(27.2점)에 대한 우려가 가장 컸다. 이어 물가 상승(26.2점)과 물류 차질 및 지정학적 리스크(17.1점), 금리 상승(12.8점) 등이 뒤를 이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물가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 외에 세금 감면이나 노동시장 개혁 등 기업의 비용을 절감해주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