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이 지난달 29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비공개 전준위 회의에 참석하기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지도체제 유지, 대의원 영향력 약화…친명 주장 줄줄이 반영
그간 지도체제는 친명계와 비명계의 첨예한 쟁점 사안이었다. 친명계는 당 대표에 권한이 집중된 현행 지도체제 유지를 주장했으나, 비명계는 전당대회 후보 중 1등이 대표직을 맡고 득표순으로 최고위원을 결정해 권한이 분산되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할 것을 주장해왔다. 전준위는 “변경할 이유가 특별히 발견되지 않았다”(조승래 의원)며 친명계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지난달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내 의원실로 첫 등원을 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투표 비율은 지도체제와 반대로 친명계가 변경을 주장하고 비명계는 현행 유지를 주장했다. 기존 본 투표 비율은 ‘대의원 45%ㆍ권리당원 40%ㆍ국민 여론조사 10%ㆍ일반당원 5%’였는데, 친명계는 “80만명에 육박하는 권리당원의 의사가 1만 6000명의 대의원의 의사보다 적게 반영되는 건 문제”(김남국 의원)라며 대의원 투표 비율 축소를 요구했다. 대의원을 다수 장악한 비명계는 “당면해서 규칙을 바꿔선 안 된다”(전해철 의원)고 저항했으나 무위에 그쳤다.
컷오프(경선 배제) 기준은 ‘당 대표 후보 4인 이상일 때 3명, 최고위원 후보 9명 이상일 때 8명’이라는 현 기준을 유지했다. ‘당 대표 1인 1표ㆍ최고위원 1인 2표 투표’도 현행 그대로다. 다만 기존에 공개했던 후보 득표율과 순위는 비공개하기로 했다.
다만 전준위의 의결 사안 중 이날 오후 비공개 비대위 회의에서 일부 조정된 부분도 있다. 전준위가 예비 경선 선거인단을 ‘중앙위원 70%+국민 여론조사 30%’로 조정ㆍ의결한 사안은 비대위에서 현행인 ‘중앙위원 100%’로 다시 바뀌었다. 또 ‘최고위원 1인 2표 투표’는 “권역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조오섭 대변인) 일부 조정됐다.
조 대변인은 “최고위원 2표 행사할 때 1표는 자유롭게 선택하되, 나머지 한 표는 해당 권역 내 출마한 후보 중에 한 표 행사하는 것으로 바꿨다”고 말했다. 권역은 수도권ㆍ영남권ㆍ충청+강원권ㆍ호남+제주권 등 4개로 구분했다. 이날 전준위와 비대위에서 의결된 사안은 오는 6일 당무위에서 최종 확정된다.
비명계 주장한 ‘최고위원 권한 강화’도 무산될 듯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민주당 내 친이재명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룰과 관련, 책임야당으로 거듭나게 하는 지도부 선출을 위해 대의원 비율을 낮추고 권리당원과 국민여론조사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김남국, 김병기, 강민정, 양이원영, 한 의원. 뉴스1
후보들 희비…친명 “당연”, 군소 후보 “부당”
인지도가 낮은 후보군은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 상향에 우려했다. 당 대표에 도전하는 한 의원은 “당의 핵심 자원인 대의원 투표 비율을 낮추고 국민 여론조사 비율을 높이는 건 결국 인기투표를 하자는 것”이라며 “신선한 인물로의 세대교체에 장벽을 세우는 꼴”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