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소송 피해자 대리인단인 임재성·장완익 변호사와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은 4일 민관협의회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피해자와 일본 전범 기업 간 협상 창구를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7/05/a0f2eb27-639a-41dd-a7fd-3df061900f15.jpg)
강제동원 소송 피해자 대리인단인 임재성·장완익 변호사와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은 4일 민관협의회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피해자와 일본 전범 기업 간 협상 창구를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뉴스1]
2018년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을 승소로 이끈 법률 대리인과 피해자 지원단은 지난 4일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 협의회 첫 회의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라는 대법 판결을 외면하고 있는 일본제철(신일철주금)·미쓰비시중공업 등 일본 전범 기업과 직접 협상해 해결책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현금화 앞두고 '협상' 요청…"배상은 진정한 화해 아냐"
![2018년 11월 미쓰비시중공업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라는 대법원 판결 직후 손을 들며 환호하고 있는 김성주 할머니. 김 할머니는 미쓰비시중공업이 대법원 판결에 따른 배상 책임을 이행하지 않자, 추가로 현금화 조치를 신청해 이르면 오는 8~9월 대법원의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7/05/acd4f573-7eed-4ed1-8569-a31b405a5ba2.jpg)
2018년 11월 미쓰비시중공업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라는 대법원 판결 직후 손을 들며 환호하고 있는 김성주 할머니. 김 할머니는 미쓰비시중공업이 대법원 판결에 따른 배상 책임을 이행하지 않자, 추가로 현금화 조치를 신청해 이르면 오는 8~9월 대법원의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다. [중앙포토]
양금덕·김성주 할머니를 지원하고 있는 이국언 근로정신대시민모임 대표는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일본 기업 자산을 강제 매각해 배상을 받으면 통쾌한 일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이는 피해자의 상처를 돌보고 존엄을 회복하는 ‘진정한 화해’가 될 수 없다”며 “단순히 배상금을 언제 받을지, 얼마나 받을지보다는 일본 기업이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해 사죄의 뜻을 표명하고, 피해자들이 이를 수용해 마음의 짐을 덜어내는 방식의 해결책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日 "개별 협상 배상·화해 말라" 지침
![2020년 1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 본사를 찾은 양금덕 할머니.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7/05/62fda22a-4a71-4533-8d9a-a461fb517f6c.jpg)
2020년 1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 본사를 찾은 양금덕 할머니. [중앙포토]
![2018년 11월 당시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배상 문제로 소송중인 일본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어 (배상과 화해에 응하지 말라는) 지침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7/05/22692b31-05ad-44a9-9232-84dd7573eb6b.jpg)
2018년 11월 당시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배상 문제로 소송중인 일본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어 (배상과 화해에 응하지 말라는) 지침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이같은 지침에 따라 일본 기업은 피해자와의 면담·협의에 소극적 태도로 일관했다. 일본제철이 2018년 11·12월 및 2019년 2월 세 차례에 걸쳐 피해자 대리인단의 면담 요청을 거절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에 피해자들은 법원에 일본제철의 한국 내 자산을 압류·현금화해달라고 신청했고, 강제징용 문제의 갈등 구도가 점차 첨예해졌다.
한·일 '외교적 노력' 전제돼야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7/05/16e823c6-5314-4f28-bda7-a7a32d9a5fb5.jpg)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연합뉴스]
일본 정부의 태도 변화가 선행되고, 이후 피해자와 일본 기업 간 협상 창구가 마련된다면 해결책이 마련될 여지는 남아있다. 전범 기업의 사과와 각종 지원 방안 마련을 전제로 현금화 조치를 동결하는 큰 틀의 협의안을 마련하고, 그 안에서 세부적인 조건을 주고받는 식의 ‘패키지 딜’도 생각해볼 수 있다.
외교 소식통은 “한·일 관계의 변화 기류와 한국 측의 해법 마련 노력 등 꽉 막혀있던 강제징용 갈등을 해소할 ‘변수’가 점차 생겨나고 있다”며 “매우 좁은 틈이지만 한·일 간 외교적 해법이 도출될 여지가 분명히 있는 만큼 정부 역시 진정성을 갖고 문제 해결에 임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