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을 방문 중인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이 26일(현지시간) 오후 워싱턴 D.C 한국전 참전 기념공원 내 추모의 벽에서 열린 전쟁포로·실종·전사 유가족 추모행사에 참석해 유가족을 위로 및 격려하고 있다. 사진 국가보훈처 제공.
박 처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북한이 7월 27일 ‘추모의 벽’ 제막을 두고 언론의 집중조명에 배가 아파 그런지 어떻게든 트집을 잡아 깎아내리고 싶은가 보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처장은 북한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가 전날 추모의 벽을 ‘묘비에 불과하다’고 비난한 기사를 링크하고 “예의와 도리를 미화, 분식, 광대극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몰상식하게 광분하는 북한에게 무엇이 그렇게 두려운지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박 처장은 “72년 전 세계 수많은 젊은이들이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전쟁의 포화 속으로 뛰어들었다”며 “미국은 그중 가장 많은 젊은이를 보냈고, 그들 중 일부는 사랑하는 가족의 곁으로 영영 돌아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박 처장은 “그 희생과 헌신을 추모하는 건 정치이념을 떠나 인간으로서의 예의와 도리”라며 “예의와 도리를 ‘미화’ ‘분식’ ‘광대극’이란 표현까지 써가며 몰상식하게 광분하는 북한에게 뭐가 그렇게 두려운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박 처장은 “전몰장병에 대한 추도와 칭송, 어떤 말로도 이들의 덕행을 대신할 수 없다”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정치가 페리클레스가 했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당시 전몰자 추도사를 인용하기도 했다.

사진 SNS 캡처
앞서 북한 대외 선전매체우리민족끼리는 전날 ‘상전과 주구의 추악한 대결광대극을 평함’이란 논평에서 “‘추모의 벽’과 그 제막식 놀음이 그 누구를 위로하고 추모해줄 지 몰라도 그것으로 패전의 악몽이 덜어지고 참패의 수치가 치유될 리 만무한 것”이라며 ‘추모의 벽’은 “역사가 일찍이 알지 못하는 대참패를 당하고 항복서를 바친 미국의 패전상, 비참상에 대한 자인이고 개탄”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