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성남수정경찰서는 8일 오전부터 이중의 성남시의료원 원장의 배임 등 혐의와 관련해 성남시의료원을 압수수색했다. 사진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시의료원의 모습. 뉴스1
성남수정경찰서는 이날 오전 성남시의료원 원장실과 고압산소치료기 관련 부서 등을 압수수색해 고압산소치료기 도입 경위와 사용 내역 등에 관한 서류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고발장 제출에 따른 수사 진행을 위해 이날 성남시의료원을 압수수색했다”고 말했다.
원장이 개인적 이유로 고압산소치료기 사적 사용
이 원장은 노화 방지 실험 등 개인적인 이유로 57차례에 걸쳐 고압산소치료기를 사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회당 10만원 이상인 고압산소치료비도 전혀 내지 않았다고 한다. 이 원장은 고압산소치료가 실제 노화 방지로 이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4차례 유전자 검사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고압산소치료기 사용을 위해 휴일에 직원들을 동원했다는 주장도 나온 상태다.
시민단체, 직권남용 등 혐의로 이 원장 고발
이들은 “유전자 검사는 생명윤리법에 따라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고 의사라고 해도 개인적으로 검사를 의뢰할 수 없다”며 “이 원장의 유전자 검사 비용을 누군가 대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해당 유전자 검사기관을 생명윤리법 위반, 고압산소치료기 업체는 뇌물공여 등 혐의로 함께 고발했다.
논란이 되자 이 원장은 지난 5월 입장문을 내고 “해당 장비를 사용한 것은 맞지만, 개인적인 이유가 아니라 해당 장비를 개발한 업체와 대한고압의학회의 권고에 따라 환자들의 치료 도우미로 이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전자 검사비 대납 의혹에 대해서도 “해당 비용을 모두 지불했다”고 말했다.
한편 2020년 7월 개원한 성남시의료원은 전국 첫 주민 조례 발의로 설립된 공공병원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성남시장이던 시절 추진했다. 2013년~2019년 모두 1691억원이 투입돼 수정구 옛 시청 터 2만 4711㎡에 전체면적 8만5684㎡, 지하 4층, 지상 10층 규모로 지어졌다. 509병상을 갖춰 23개 과를 운영 중이다. 이 원장은 역시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은수미 전 시장이 임명한 인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