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 제로' 목표 조기 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최태원(오른쪽) SK그룹 회장이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와 손을 잡았다. SK그룹은 게이츠가 설립한 소형모듈원자로 설계기업 테라파워에 3000억원을 지분 투자하기로 했다. AP=연합뉴스, 뉴시스
SK㈜와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Small Modular Reactor) 설계기업 테라파워에 2억5000만 달러(약 3000억원) 규모로 지분 투자한다고 15일 밝혔다. SK그룹은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승인을 받아 지분 투자를 완료했으며, 한국·동남아 등에서 테라파워의 원자로 상용화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테라파워는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업체다. 차세대 원자로 중 하나인 ‘소듐냉각고속로(SFR·Sodium-cooled Fast Reactor)’ 설계기술을 보유했다. 현재 가동 중인 3세대 원전보다 안정성과 경제성에서 진일보한 4세대 원전 기술로 통한다. 핵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높은 안정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테라파워는 4세대 원전으로 꼽히는 '소듐냉각고속로' 설계기술을 가진 회사다. 지난 1월 테라파워 테스트 엔지니어인 제이콥 윌콕스가 소듐 프로세싱 작업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테라파워는 SMR 외에도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인 액티늄-225 생산기술도 갖고 있다. SK그룹은 에너지뿐 아니라 바이오 분야에서도 다양한 사업기회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원전 강국’ 부활 나서는 한국 기업
기존 선두업체인 두산에너빌리티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정부가 내놓은 ‘2030 원전 10기 수출 목표’ 달성을 위해 뛰고 있다.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출 이후 맥이 끊겼던 원전 수출에 나서는 셈이다. 한수원이 지난 1월 단독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집트 엘다바 원전 4기 부속건물 건설사업에 이어 체코·폴란드·루마니아 등 동유럽 원전 사업 수주에 나서고 있다.

GS에너지와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이 세계 1위 SMR 기업인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지난 4월 전 세계에 SMR 발전소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사업 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사진은 체결식에 참석한 허용수 GS에너지 사장(왼쪽부터), 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사장, 나기용 두산에너빌리티 부사장, 이병수 삼성물산 부사장. 사진 GS그룹
SMR은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냉각재펌프, 가압기 등을 일체화한 300㎿ 이하 소규모 원전이다. 대형 원전 대비 건설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배관 설비가 없어 자연재해에도 방사성물질 누출 가능성이 매우 낮다. 고온의 증기를 활용해 경제적인 수소 생산도 가능하다. 영국 국립원자력연구소에 따르면 SMR은 2030년 이후 상용화가 예상되며 2035년까지 390조~620조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