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가계대출자 중 22.4%가 다중채무자다. 지난해 말(22.1%)보다 0.3%포인트(P) 늘었고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대출자 수가 아닌 대출 잔액 기준으로 따지면 다중채무 비중은 31.9%다.
이는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 패널 약 100만 명의 신용정보를 분석한 결과다. 이 비중을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가계대출자 수(1989만4000명)에 적용하면 445만6000여 명이 다중채무자로 추산된다.
다중채무자 수와 잔액이 늘어난 것보다 더 걱정스러운 건 대출 취약계층에서 두드러지는 다중채무자 비중 증가세다. 1분기 말 기준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의 비중이 32.6%로 가장 높았다. 50대(28%)와 30대 이하(26.8%), 60대 이상(12.6%) 순이다. 이 중 30대 이하 다중채무자 비중이 지난해 말보다 0.6%P 늘어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가장 가파르게 증가했다.
이자 내려고 또 대출 ‘빚 악순환’… 2030 비중 꾸준히 늘어
60대 이상 다중채무자 비중은 0.3%P 증가, 50대는 0.2%P 늘어난 반면 40대는 1.1%P 감소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에 고소득자는 여윳돈으로 대출 원금을 상환해 이자 부담을 줄여 나가지만 중·저소득자는 늘어난 이자를 감당하기 위해 오히려 생계용 자금을 고금리로 빌려야 하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다중채무자가 몰려 있는 금융회사는 저축은행이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문제는 금리 부담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가계대출 가중평균 금리는 시중은행이 연 4.23%, 저축은행이 연 9.79%다.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배 이상 높다. 15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금리는 신용점수가 600점 이하인 저신용자 기준 법정 최고금리(연 20%)에 근접한 연 19.9%에 이른다.
금융 당국은 취약계층의 빚 부담이 커지는 상황을 위험하다고 진단하고 있다. 한은은 지난 6월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취약차주의 수가 늘고 있다”며 “금리 상승이 계속되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나빠질 경우 청년층, 자영업자 등을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다중채무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중은행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은 15일 “신용대출 금리가 연 7%를 초과하는 다중채무자의 금리를 1년간 연 7%(최대 1.5%P)로 낮춰준다”고 발표했다. 지원 대상은 지난달 말 기준 금리 연 7%가 넘는 신용대출이 있는 다중채무자다.
예를 들어 신용대출 금리가 연 9%인 경우 1.5%P 금리 인하를 적용해 연 7.5%로 낮춰주고, 연 8% 금리가 적용되는 다중채무자의 경우 연 7%로 인하되는 것이다. 신한은행은 “신한은행을 이용하는 고객 중 다중채무자인 약 7만2000명이 7500억원 규모의 혜택을 받게 된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지난 1일부터 연체 없이 빚을 갚아 온 다중채무자의 원금을 감면해 주는 혜택을 도입했다. 금리 연 6%가 넘는 대출을 상환 중인 다중채무자가 연체 없이 빚을 갚으면 6%를 초과해 낸 이자만큼 원금을 감면해 주는 방식이다. 우리은행은 “취약차주의 연착륙을 유도하고 차주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런 방식을 고안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