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양천구 목동 아파트 5단지와 6단지 모습. 뉴스1
국토부는 현재 안전진단 통과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구조 안전성 평가 비중을 50%에서 30∼40%로 줄이고 주거환경, 설비노후도 배점을 상향하는 등 평가항목 손질에 나설 방침이다. 또 2차 적정성 평가도 지자체 요청 시에만 하는 것으로 사실상 폐지한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연내 개선방안을 마련할 때 현재 2차 적정성 검토를 앞둔 단지는 안전진단 통과로 소급 적용할지 등 적용 범위, 시행시기 등을 최종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에서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단지(144곳) 중에서 예비 안전진단을 포함한 안전진단 단계에 있는 단지는 33곳이다. 이 단지들을 포함해 서울에서 안전진단을 아직 받지 않은 준공 30년 차 이상 아파트는 30여만 가구에 달한다.
서울서 안전진단 통과 단지 달랑 5곳
지난 5월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분석한 결과 안전진단 기준이 강화된 이후 적정성 검토에서 떨어진 단지는 전국 13곳으로 나타났다. 만약 구조 안전성 가중치가 30%로 낮아질 경우 목동 9·11단지, 미성아파트 등 9곳이 안전진단을 통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목동의 경우 총 14개 단지(2만6000가구) 중 단지 한 곳(6단지)만 안전진단을 최종 통과한 상태다. 목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최근 폭우로 목동 아파트 외벽이 떨어지기도 해서 주민들이 난리가 났었다”며 “현재 2차 적정성 검토를 앞둔 단지들이 규제가 완화되기만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백준 J&K 도시정비 대표는 “안전진단 기준 강화 이후 통과된 단지가 극히 드물 정도였는데 완화되면 어느 정도 숨통 터질 것”이라고 말했다. 임병철 부동산R114 리서치 팀장은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와 안전진단 제도에 대한 규제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강남과 양천, 노원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가 모르려 있는 지역은 금번 대책이 집값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