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임철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원장(왼쪽 일곱번째)이 지난달 3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호텔에서 열린 '2022년 지방의회 아카데미'에서 지방의원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태백시, 기금 200억원 힐링센터 건립 등에 사용
지방소멸대응기금 실효성에 벌써 의문이 제기된다. 인구유입에 필요한 중장기적 사업보단 단발성, 중복 사업에 기금이 대부분 활용되면서다.

지난해 10월 18일 행정안전부가 전국 89개 시·군·구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 고시했다. 충남에서는 공주와 논산, 보령, 부여, 청양 등 9곳이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됐다. 사진은 충남 공주의 구시가지 모습. 연합뉴스
올해는 제도 도입 첫해로 2년 치 기금 1조7500억원(7500억원+1조원)을 배분한다. 행안부는 자치단체가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따라 등급(A~E)을 나눠 금액별 차등을 뒀다. 인구감소 지역(89곳)에는 최소 112억원에서 최대 210억원, 관심 지역(18곳)에는 28억~53억원을 각각 지원한다. 관심 지역은 조만간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큰 곳이다.
행안부, 지난달 16일 등급 따라 차등 결정
전남 신안군은 ‘섬 살이 교육전문센터 로빈슨 크루소 대학 구축’이라는 사업계획을 제출했다. 폐교를 활용해 교육시설을 만들고 태평양 도서국(섬나라) 등 국제협력 강화하겠다는 게 사업의 핵심이다.

지난 7월 28일 이지연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이 정부세종청사에서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집계된 2021년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집계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대부분 생활인프라 개선
행안부가 ‘기금 사업 우수 사례’로 든 경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광주 동구는 ‘충장상상큐브 조성 및 운영’이라는 사업 계획을 제출하면서 골목 야시장을 조성하고 단편 영화제를 개최하겠다며 기금을 요청했다. 충북 괴산군은 귀촌 희망 청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창업 공간을 만들고 교육 기회도 제공하겠다는 계획으로 기금을 지원받게 됐다. 다른 자치단체 사업과 큰 차이가 없는 내용이다.

15일 교육부 방침에 따라 전국 96개 일반대와 전문대는 '적정규모화 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입학 정원을 1만6197명 감축하게 된다. 이날 고려대학교에서 학생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뉴스1
행안부는 “한국지방재정공제회에서 위촉한 평가단에서 사업의 우수성, 계획의 연계성, 추진체계의 적절성 등 기준에 따라 투자계획을 객관적으로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 "실효성 있는 정책 중심으로 지원해야"
배재대 행정학과 최호택 교수는 “각 도시와 지방마다 특색이 있고 역사와 전통이 다르기 때문에 비슷한 사업으로는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며 “자치단체 간 과열경쟁을 예방하고 기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평가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구소멸 위험이 수도권까지 확산한 가운데 지난 4월 6일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빈 집의 모습. 연합뉴스
행정안전부는 지방소멸대응기금 성과를 분석한 뒤 중장기적 후속 조치로 맞춤형 컨설팅과 성공·실패 사례 공유 시스템을 마련할 방침이다. 인구감소 지역 자치단체는 앞으로 매년 초 인구 소멸 대응 기본계획을 마련, 정부에 제출해야 한다. 정부는 이들의 재정수요를 지방교부세 등에 반영할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앞으로 중장기 계획과 각종 특례가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과 긴밀이 연계되도록 하겠다”며 “법에서 최초로 도입한 생활인구의 요건을 추가로 연구, 인구 감소 대응을 위한 다양한 정책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