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국 경제, 수출 회복세 약화로 경기둔화 우려"

사진은 지난달 1일 오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아래)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송봉근 기자

사진은 지난달 1일 오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아래)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송봉근 기자

정부가 4개월째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는 진단을 내렸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발간한 '최근 경제 동향 9월호'에서 "대외 요인 등으로 높은 수준의 물가가 지속되고경제 심리도 일부 영향을 받는 가운데 향후 수출회복세 약화 등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앞서 기재부는 그린북 6월호에서 올해 처음으로 '경기 둔화 우려' 표현을 사용한 바 있다. 이어 4개월 연속 같은 진단을 내렸다.

대외 불안 요인으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지속을 꼽았다. 또한 "주요국 금리 인상 가속화 기조, 중국 봉쇄 조치, 에너지 수급 불확실성 등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 변동성과 세계 경제 하방 위험이 지속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경기 둔화가 확대됐다'는 표현을 쓰기에는 소비 측면에서는 회복세가 지속되는 흐름이고, 수출 회복세 약화가 병존하는 상황"이라며 "아직 경기 판단에 대한 기조 자체를 크게 바꾸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7% 올라 전월(6.3%)보다 상승세가 둔화했다. 국제 유가의 하락 등이 반영된 결과다. 반면 여름 성수기 수요 증가로 개인서비스 물가는 6.1% 상승해 전월(6.0%)보다 높은 오름세를 이어갔다.

석유류·농산물 등 공급 측 변동 요인을 제거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4.4% 상승했다. 체감 지표인 생활물가지수와 신선식품지수는 각각 6.8%, 14.9% 올랐다.

이 과장은 "물가에 부동산 경기, 주식 시장 변동성이 커서 마이너스 자산 효과가 있을 수 있다"며 "금리 인상에 따라 가계 가처분소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소비가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이러한 제약 요인과 전반적인 소비 회복 여력이 플러스·마이너스 효과를 이루면서 어느 정도 회복세가 유지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8월 수출액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566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 평균 수출액은 23억6000만 달러로 2.2% 늘었다. 수출 증가율은 지난 6월(5.3%), 7월(9.2%)에 이어 3개월 연속 한 자릿수에 머무르고 있다.

고용 시장은 회복세를 지속했다. 8월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3만7000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15세 이상 고용률은 62.8%로 1.6%포인트(p) 상승했고 실업률은 2.1%로 0.5%p 하락했다.

이 기사 어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