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의 3분기 잠정 실적 집계 결과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향후 전망 역시 불투명하지만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로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7일 서울 여의도 LG전자 사옥 모습. 연합뉴스
LG전자의 영업이익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전장(電裝·자동차용 전기전자 부품) 사업 성장과 프리미엄 제품군 판매 확대로 매출은 분기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수익성이 나빠졌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공급망 위기로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 금리·물가 인상 등으로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게 원인으로 꼽힌다.
LG전자는 올 3분기 매출 21조1714억원, 영업이익 7466억원의 잠정 실적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올해 1분기(20조9690억원)를 넘어서면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14.0%, 영업이익은 25.1%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 5968억원은 미국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 전기차 리콜 관련 충당금 약 4800억원을 제외한 수치다. 실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300억원 정도 줄어든 셈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물류비 인상 등 비용 부담이 커졌고, 주력 제품인 TV·생활가전 등 수요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번 잠정 실적은 증권가 컨센서스(최근 3개월 평균)과 비교할 때 매출은 늘고 영업이익은 줄어든 결과다. 증권가에선 LG전자의 3분기 실적을 매출 20조1700억원, 영업이익 8700억원 정도로 전망했다. 잠정 실적이어서 사업부문별 실적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주력 제품인 생활가전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럽 시장의 소비 심리 악화가 영향을 미쳤다.
시장조사기관 트랜드포스는 올해 세계 TV 출하량 전망치가 2009년 이후 13년 만에 2억 대 이하로 떨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판매단가가 비싼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강자 LG전자는 매출은 늘었지만 수익성이 악화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물류비 인상도 부담을 키웠다.
다행인 점은 전장(VS) 사업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점이다. 이미 2분기 흑자 전환한 VS사업부는 올 상반기에만 8조원 규모의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올해 말까지 수주 잔고가 65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 LG전자 내부에선 VS사업부가 올해 9년 만의 흑자 전환을 이루고 연간 영업이익 역시 1000억원대에 육박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LG전자는 세계 최대 올레드TV인 97형(화면 대각선 길이 약 245㎝)을 출시했다. 하반기 글로벌 시장 대형 쇼핑시즌을 맞아 프리미엄TV 수요를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사진 LG전자
올레드TV의 성장세도 희망적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 4분기 북미(88만5300대), 유럽(133만2200대) 시장을 더해 총 221만7600대의 올레드TV가 공급될 전망이다. 두 지역의 출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162만대)과 비교하면 약 36% 늘어나는 셈이다.
LG전자 HE(홈엔터테인먼트) 사업부는 핼러윈데이(10월), 추수감사절·블랙프라이데이(11월), 크리스마스(12월)로 이어지는 대형 쇼핑 시즌을 맞아 프리미엄 TV 수요를 적극 공략해, 수익성을 개선한다는 전략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