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 인천 연수구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1.11% 하락했다. 사진은 고층 아파트가 몰려 있는 인천 연수구 송도동. 연합뉴스
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지난달 28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56% 하락했다. 2012년 5월 통계 집계 이후 최대 낙폭으로, 4주 연속 역대 최대 하락 기록을 경신했다. 도봉구(-0.99%) 아파트값이 서울에서 낙폭이 가장 컸고 노원구(-0.95%), 강북구(-0.87%), 은평·성북구(-0.7%) 등 중저가 아파트 밀집지역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8월 11억원에 거래됐던 성북구 길음동 ‘길음뉴타운2단지푸르지오’ 전용면적 84㎡가 지난달 7억6300만원(10층)에 팔렸다. 강남 3구인 서초구(-0.22%)와 강남구(-0.34%), 송파구(-0.48%)는 서울 평균보다 하락 폭이 덜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매수·매도자 간 가격 인식 차이로 급매물만 간헐적으로 거래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0.69% 내렸다. 경기도(-0.71%)와 인천(-0.94%)에선 주간 낙폭이 1%를 넘는 곳이 속출했다. 광명시(-1.46%)를 비롯해 고양 덕양구(-1.42%), 의왕시(-1.19%), 인천 연수구·부천시(-1.11%)가 급락했다. 개별 단지 중에선 인천 연수구 송도동 ‘송도SK뷰’ 전용 84㎡가 지난달 5억6500만원(6층)에 거래됐다. 지난해 9월 최고가(11억원)의 반 토막 수준이다. 의왕시 포일동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84㎡는 지난해 6월 16억3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지난달엔 10억8000만원(23층)에 팔렸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값 하락률은 0.56%, 지방은 0.43%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권주안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에는 주택 수요 감소가 지속하는 가운데 신규 공급 여건이 악화하면서 주택시장 전반의 경착륙 위험이 고조될 것”이라며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셋값은 올해 말보다 3~4% 더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주택 가격이 2024년 전후로 저점을 확인한 뒤 횡보하는 ‘L’자형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