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점 불꽃이 광야 태운다" 92년전 마오 어록이 시진핑 겨눴다

지난달 27일 중국 베이징 량마차오에서 우루무치 화재 사망자를 추모하는 백지 시위가 열렸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달 27일 중국 베이징 량마차오에서 우루무치 화재 사망자를 추모하는 백지 시위가 열렸다. 로이터=연합뉴스

“한 점의 불꽃이 광야를 불태운다.”
1930년 1월 5일 마오쩌둥(毛澤東)이 부하 린뱌오(林彪)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 말이다. 마오의 예언처럼 소수의 혁명가들이 지핀 한 점 불꽃이 끝내는 중국 대륙을 공산당 천하로 붉게 물들였다. 중국인이라면 모르는 이가 없는 이 표현이 최근 상하이의 반정부 시위에서 등장했다. 놀랍게도 그 시위에서는 시진핑 하야와 반(反) 공산당 구호까지 등장했다.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초유의 일이다. 

제로코로나 정책의 극단적 억압에 대한 작은 반발로 시작된 ‘백지시위’는 삽시간에 주요 대도시로 번져 동시다발적 반정부 시위 사태로 확산됐다. 한 점 불꽃의 힘을 모를리 없는 중국 당국이 원천봉쇄 작전에 나서면서 시위는 일단 소강상태로 접어들었다. 한편으로 중국 정부는 방역 완화 기조를 내비치며 민심 수습에 나섰다. 예상하던 대로의 움직임이다. 

하지만 아직 불꽃이 완전히 사그러들었다고는 단정할 수 없다. 이번 시위로 일단을 드러낸 중국인들의 누적된 불만과 분노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백지시위는 코로나 방역 뿐 아니라 최근 수 년간 지속돼 온 통제와 검열에 대한 정면 반발이었다는 점에서 재발 조짐은 여전하다. 지난달 20차 당대회를 통해 3연임에 성공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최대 난관에 봉착했다.   

‘백지 시위’의 시작

지난달 26일 밤 상하이 우루무치중로 도로 표지판에 “우루무치 친구들, 제 가족처럼 여러분을 사랑합니다″는 글이 붙어 있다. 사진 트위터 캡처

지난달 26일 밤 상하이 우루무치중로 도로 표지판에 “우루무치 친구들, 제 가족처럼 여러분을 사랑합니다″는 글이 붙어 있다. 사진 트위터 캡처

시위는 자연 발생적이었다. 지난달 26일 밤 상하이 우루무치중로(烏魯木齊中路) 도로 표지판 위에 손글씨가 적힌 작은 백지 하나가 나붙었다. “우루무치 친구들, 저희는 여러분을 사랑합니다. 제 가족을 사랑하는 것처럼. 11·26 상하이” 이 표지판 아래 사람들이 촛불을 놓기 시작했다. 흰 국화꽃도 쌓여갔다. 누군가는 종이 박스를 찢어 빨간색 글씨로 ‘우루무치 망자 안식’이라고 적었다. 지나는 사람이 모여들어 좁은 사거리를 메웠다. 그 사이로 하나둘 사람들이 백지를 들기 시작했다.

표지판 아래 사람들이 촛불과 흰 국화꽃이 쌓여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표지판 아래 사람들이 촛불과 흰 국화꽃이 쌓여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추모로 시작했지만 시민들의 목소리는 점차 높아졌다. 누군가 선창을 하면 사람들이 따라 외쳤다. “해방 신장!” “중국 해방!” “자유를 원한다!” “언론 자유!” 등. 구호는 수십차례 반복됐다. 늘어난 시위대 행렬에 공안(경찰)은 이들을 4열로 둘러쌌다. 


백색 종이를 든 사람들을 경찰이 겹겹이 둘러싸고 있다. AP=연합뉴스

백색 종이를 든 사람들을 경찰이 겹겹이 둘러싸고 있다. AP=연합뉴스

시 주석 퇴진 구호가 나온 건 이때였다. “공!산!당!” “물!러!나!라!” “시!진!핑” “물!러!나!라!” 중국에선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다. 경찰이 강제 해산에 나서면서 시민들과 충돌이 시작됐다. 앞에서 항의하던 일부 시민이 양팔을 붙잡힌 채 끌려나갔다. 성난 시민들이 경찰의 바리케이드를 향해 달려들었고 일부는 “공안은 국민을 위해 봉사하라”고 외쳤다. 이날 시위는 사람들이 찍은 휴대폰 영상으로 해외로 퍼져나가 세상을 놀라게 했다. 

들불처럼 번진 시위...나흘간 中 24개 도시서 51차례

지난달 28일 칭화대 광장에서 학생들이 백지 시위를 벌였다. 연단에 서 있는 여학생은 ″이제 더이상 공권력에 순응하지 않겠다″고 소리쳤다. 사진 트위터 캡처

지난달 28일 칭화대 광장에서 학생들이 백지 시위를 벌였다. 연단에 서 있는 여학생은 ″이제 더이상 공권력에 순응하지 않겠다″고 소리쳤다. 사진 트위터 캡처

시위는 다음 날 베이징으로 번졌다. 시진핑 주석의 모교 칭화대 광장에 대학생 수백 명이 모였다. 무대에 오른 한 여학생이 백지를 들고 외쳤다. “봉쇄에 반대한다. 지금부터 우리는 공권력에 순응하지 않겠다.” 학생들은 “옳소”라며 박수를 보냈다. 학생들은 “민주·법치” “표현 자유”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이어갔다. 칭화대 기숙사 지붕에는 ‘SB시진핑’이라고 적힌 현수막이 내걸렸다. SB는 중국어로 ‘어리석은 바보’(傻逼ㆍ샤비)라는 뜻의 속어 약자다. 

지난달 29일 칭화대 기숙사에 내걸린 현수막. 시진핑 주석을 욕하는 내용이 담겼다.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지난달 29일 칭화대 기숙사에 내걸린 현수막. 시진핑 주석을 욕하는 내용이 담겼다.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지난달 27일 하루에만 베이징, 상하이, 청두(成都), 우한(武漢), 광저우(廣州), 닝보(寧波), 칭다오(靑島) 등 10여 개 도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시위가 벌어졌다. 쓰촨성 청두에선 백지를 든 시위 참가자들이 시 주석을 빗대 “우리는 황제를 원치 않는다”고 외쳤고, 우한에서는 수백 명이 거리로 뛰쳐나와 바리케이드를 부수고 유전자 증폭(PCR) 검사장을 뒤엎었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 동안 중국 24개 도시에서 총 51차례 시위가 벌어진 것으로 파악했다. 지난달 29일 광저우 하이주구 시위에선 진압 경찰이 군중 사이로 최루탄을 터뜨린 일도 있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제로 코로나' 방역 한계…곳곳 붕괴 조짐

지난달 27일 상하이에서 시위에 참여한 시민이 체포돼 경찰 차로 연행되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달 27일 상하이에서 시위에 참여한 시민이 체포돼 경찰 차로 연행되고 있다. AP=연합뉴스

시위의 일차적 원인은 고강도 방역 정책에 대한 불만이다. 현재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은 확진자가 다녀간 모든 장소를 봉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밀접접촉자까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다 보니 격리자 수와 폐쇄 반경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아도 동선이 겹쳐 격리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렇게 3년간 수시로 일상 활동이 중단되자 생계가 위협받는 사람들의 분노와 원성은 임계치를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건강을 위해서라던 방역이 오히려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현실은 중국인들의 분노에 기름을 부었다. 지난달 2일 코로나19로 전면봉쇄 중이던 란저우시(蘭州市)에서 가스에 중독된 3살 아이가 코로나19 음성 증명서가 없다는 이유로 이송이 지체돼 결국 숨졌다.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선 “제로 코로나가 사람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죽이고 있다”는 비아냥이 쏟아졌다. 허베이성(河北省) 스자좡시(石家莊市)의 한 대학에서 격리 중이던 학생은 건강 이상 증세로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사망했다. 우루무치 아파트 화재 역시 봉쇄로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해 주민 10명이 숨진 인재였다. 

지난달 30일 베이징 순이구에 위치한 격리시설 내부. 한 시민이 방역 담당자에게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사진 웨이신 캡처

지난달 30일 베이징 순이구에 위치한 격리시설 내부. 한 시민이 방역 담당자에게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사진 웨이신 캡처

 
여론은 시시각각 악화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베이징 외곽에 있는 한 격리시설의 내부 영상이 유출됐다. 4분 남짓한 영상에는 한 남성이 관리자에게 격하게 따지는 장면이 담겼다. “약도 안 주면서 지금 물만 마시라고 하냐. 물 먹어서 해결될 문제면 정부는 뭣하러 이리 많은 정책을 내놨나” “여기를 봐라. 양성, 음성 다같이 모여 있고 노인에 아이에 암 환자까지 와 있다. 정부 지도자는 어디 있나. 이걸 조화롭고 안정적인 발전이라고 말할 수 있나” 등. 거칠 것 없는 항의에서 불만이 쌓일대로 쌓인 중국인들의 속내가 드러났다. 

일상화된 통제 위주의 방역 정책은 정부 핵심 지지층이었던 20~30대의 반발을 자초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과 봉쇄에 대한 불만을 억누르기 위해 당국은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글을 검열하고 삭제해 왔다. 이동시 휴대폰 QR코드 사용을 의무화해 개인의 움직임도 감시하고 통제했다. 20·30세대들은 우루무치 사고에 대한 추모마저 막는 당국에 분노했고 “자유” “정보의 자유” 등을 외치며 자발적으로 거리로 나섰다. 정부의 과도한 통제가 잘못됐다는 인식이 백지 시위로 수면 위로 표출됐다.

‘봉쇄 완화·통제 강화’ 강온 양면 대응

지난 1일 중국 쑨춘란 부총리가 전염병 예방 대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 신화통신=연합뉴스

지난 1일 중국 쑨춘란 부총리가 전염병 예방 대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 신화통신=연합뉴스

민심 이반이 심각하다고 판단한 중국 정부는 빠르게 태세 전환에 들어갔다. 방역 사령탑인 쑨춘란(孫春蘭) 부총리는 지난달 30일 “중국의 전염병 퇴치가 새로운 국면에 직면하고 있다”며 제로 코로나 완화 방침을 시사했다. “오미크론 변이의 병원성이 약화하고 중국의 백신 접종이 대중화됐다”며 통제의 유연성도 강조했다. 미 블룸버그통신은 “쑨 부총리의 발언은 중국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더는 심각하지 않다는 것에 대한 첫 공식 인정”이라며 중국이 자국 경제를 옥죄던 제로 코로나 정책에서 벗어나겠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동시에 시위가 벌어진 광저우, 충칭(重慶) 등 대도시들도 속속 방역 완화 조치에 나섰다. 광저우는 1일부터 도심 9개 구(區)의 전면적인 방역 완화를 시작했고 충칭시 도심 곳곳에 설치됐던 방역 가림막도 대부분 철거됐다. 두 도시는 최근 가장 많은 하루 8000명 대 신규 감염자가 발생한 도시란 점에서 이같은 조치는 전국적인 방역 완화의 상징적 조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난 1일 장쩌민 전 주석의 유해가 상하이에서 출발해 베이징에 도착했다. 신화통신=연합뉴스

지난 1일 장쩌민 전 주석의 유해가 상하이에서 출발해 베이징에 도착했다. 신화통신=연합뉴스

 
반면 추가 시위를 막으려는 당국의 통제는 더 강화됐다.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사망과 맞물려 여론의 향배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당국은 반정부 움직임의 사전 차단에 총력을 쏟고 있다. 베이징에선 대학가 주변과 시위가 벌어졌던 량마차오 일대에 순찰차가 진을 치고 있다. 불심검문도 잦아져 상하이에선 지하철 안까지 공안이 들어와 무작위로 휴대폰을 검열하고 반정부 영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대학 내에도 사복 경찰들이 배치돼 움직임만 감지되면 곧바로 연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중국 내 150여 개 대학이 지난 주말 시위를 벌였다. 

“백지 시위는 게임 체인저”

지난달 27일 베이징에서 벌어진 백지 시위. 로이터=연합뉴스

지난달 27일 베이징에서 벌어진 백지 시위. 로이터=연합뉴스

백지 시위는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입지를 좁히고 있다. 미국과 영국, 유엔기구까지 나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비판했고, 세계 각국 시민들의 백지 시위 동참이 이어지고 있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나면서 '이의제기의 전통'(tradition of dissent)이 다시 깨어나고 있으며, 그 영향은 거리 시위에 따른 충돌이 끝난 후에도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이 의도치 않은 결과를 만들어 냈다. 이는 게임 체인저”(야셍 후앙 미 매사추세츠공대 슬론경영대학원 교수)라는 평가도 나온다.

중국 내 시위는 지속될 수 있을까. 겉으로는 소강 상태에 들어갔지만 여전히 중국 대륙에는 통제와 억압에 대한 분노라는 수많은 불꽃들이 잠재해 있다. ‘당을 향한 충성’이자 ‘혁명’의 상징이었던 불꽃이 92년 만에 소환돼 거꾸로 당을 겨누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