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어음(CP) 금리 상승세가 지난 1일부터 5.54%에서 멈췄다. pixabay
지난 1일부터 CP 금리 나흘째 5.54%에서 멈춤
CP 금리 상승에 제동이 걸리자 시장에서는 당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화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6% 후반대에서 거래되던 PF ABCP와 증권사 CP(A1 등급) 금리가 이달 초부터 5~6% 초반대로 하락하는 모습”이라며 “공사채·은행채 중심으로 시작된 온기가 채권시장 전체로 퍼져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분위기 반전은 한전채…카드채도 민평 금리 아래서 거래
그 결과 지난달 28일 한전은 민간 채권평가사들이 매긴 평균 금리(민평금리)보다 0.05%포인트 낮은 금리에 채권을 발행하면서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었다. 이후 지난 1일 한국도로공사가 민평 금리보다 0.084%포인트 낮게 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지난 4일에는 삼성카드·KB카드 등 AA+급 카드사 채권(여전채)도 민평 금리보다 낮은 금리에 거래됐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신용등급이 우량한 채권 위주로 민평 금리 아래에서 발행·유통되는 일이 많아졌고 일부 여전사 채권 단기물도 민평 금리 아래에서 거래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채권시장 회복 시그널을 찾을 수 있다”고 전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경기·금융 불안정 우려에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정대호 KB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 내부와 정부 당국, 시장에도 금융 불안정을 이유로 한 기준금리 속도조절론이 나온다”며 “기준금리가 정점에 이를수록 단기채·우량채의 매력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조용구 연구원도 “경기 둔화를 고려하면 시장금리 안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정부가 지난 10월부터 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채권시장 유동성 공급 대책을 잇달아 내놓고, 한전 등 공기업의 채권 발행을 자제토록 한 것도 채권금리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부동산 PF 부실, 건설사 자금난 잠복…낙관은 일러”
정대호 연구원은 “지난달 14일 이후 만기도래한 PF ABCP 중 차환 발행에 실패한 비율은 11.5%로 추정한다”며 “부동산 금융을 둘러싼 금융권과 건설사의 사업 위험은 이전보다 매우 클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