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니메이션 '더 퍼스트 슬램덩크'를 수입한 김불경 SMG홀딩스 대표가 서울 구로구 자신의 사무실에서 농구공을 들고 포즈를 취했다. 배경에 '더 퍼스트 슬램덩크' 포스터가 보인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지난 26일 더현대 서울 백화점에 문을 연 ‘더 퍼스트 슬램덩크’ 팝업스토어엔 영하 17도 강추위에도 한정판 피규어, 유니폼 등을 사려는 팬 1000여명이 ‘오픈런’(문을 열자마자 입장해서 구매하는 것)에 뛰어드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만화 배경이 된 일본 도쿄 남부 가마쿠라 철길 골목에는 기념사진‧유튜브 영상을 찍으려는 관광객이 몰려 몸살을 앓는다는 보도도 나왔다. 원작을 다시 묶어낸 단행본(『슬램덩크 챔프』)이 서점가 만화부문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는가 하면, 온라인 쇼핑몰에선 농구용품 판매도 급증했다고 한다.
원작 연재가 종료된 27년 전 못지않은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에 힘입어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개봉 23일만인 지난 27일 대작 영화 ‘교섭’(18일 개봉, 황정민‧현빈 주연)을 제치고 처음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극장 흥행도 역주행했다.
수입사 대표 “‘슬램덩크’ 흥행, '탑건2'로 예감했죠”
12일 인터뷰에서 “『슬램덩크』가 영화화가 확정됐다는 얘기는 2년 전 이노우에 다케히코 작가의 트위터를 통해 알았지만, ‘더 퍼스트 슬램덩크’ 수입을 결정한 건 지난해 ‘탑건: 매버릭(이하 탑건2)’ 성공사례를 보면서였다”고 소개했다.
서울 구로구 수입사 사무실에서 만난 그는 “우선 극장판 각본‧연출을 직접 맡은 원작 만화가 이노우에 다케히코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또 ‘탑건2’가 1편(1987)의 추억이 있는 팬들을 뭉클하게 하며 성공하는 것을 지켜보며(817만 관객 동원) ‘더 퍼스트 슬램덩크’도 90년대 원작 만화 팬의 가슴을 울릴 거라 확신했다”고 했다. “개봉을 전후해 10차례 이상 봤는데 볼 때마다 재밌었다"며 "『슬램덩크』 원작을 본 30·40세대는 물론 그 자녀까지 가족 관객으로 확산할 수 있을 거라 보고 한국어 더빙판에도 신경 썼다”고 했다.

『슬램덩크』 원작 만화가이자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연출한 이노우에 다케히코가 '더 퍼스트 슬램덩크' 한국 개봉에 맞춰 자신의 트위터에 한국어 인삿말을 올렸다. 트위터 캡처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일본에서는 개봉 초부터 ‘아바타: 물의 길’을 제치고 흥행 정상에 올랐다. 수입 경쟁이 치열하지 않았나.
어떤 계획이었나.
부가수익을 포함한 총 매출 가운데 극장 흥행 비중은.
90년대 영웅상, 꺾이지 않는 마음으로 변주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에서 '슬램덩크 챔프'를 살펴보는 사람들. 극장판 애니메이션 개봉에 맞춰 출간된 특별판 ‘슬램덩크 챔프’를 비롯해 오리지널판, 표지를 새로 그린 신장재편판, 화보집, 원서까지 다양한 종류가 꾸준히 판매되며 상승세를 타고 있다. 뉴스1
김 대표는 “영화를 보고 눈물 났다는 분들이 많은데 원작의 추억뿐 아니라 다들 인생에서 지치고 힘들어도 포기할 수 없는, 자신만의 산왕전을 치르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며 만화에서 강백호‧서태웅 등에 가려있던 북산고 농구부 5인방 중 포인트가드 송태섭을 주인공에 내세운 점을 극장판 흥행 요인의 하나로 꼽았다. “원작이 연재된 90년대엔 영웅이 ‘절대강자’를 의미했지만, 지금은 갖지 못한 자가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에 사람들이 감동한다"며 "이노우에 작가가 종이 만화 원작과는 다른 지금의 영웅상을 새로 창출한 덕에 이 시대 관객들의 감정이입을 만들어냈다고 본다"고 했다.
원작자의 반응은.
일부 영화관에선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응원상영회도 열린다.
"한국도 성인 아우른 하이 타깃 애니메이션 나와야"

애니메이션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서는 원작 만화의 조연 캐릭터였던 북산고 농구부 2학년 포인트가드 송태섭(사진)이 주인공으로 나선다. 사진 SMG홀딩스
그는 "요즘은 30‧40대도 웹툰‧만화를 보고 애니메이션을 즐긴다. 코로나19 시기 집에서 OTT로 영상물 보는 시간이 많아진 영향도 크다. 일본에는 성인 관객도 볼만한 하이 타깃 애니메이션이 많은데 한국에서 제작해도 성공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앞으로 시장을 이렇게 전망했다.
“이미 한국 웹소설 ‘나 혼자만 레벨업’이 일본에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고 있어요. 우리도 지난해 여름부터 ‘브레드 이발소’ ‘신비 아파트’ 등 한국 IP를 일본에 수출하고 있고요. 메타버스 가상현실은 애니메이션으로 그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시장은 계속 성장해 나갈 거고, 결국 IP 역량에 집중될 거라 봅니다. 문화교류를 통해 한·일 양국이 같이 성장할 수 있는 포인트들을 찾아 나가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