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행안부)가 지난달 15일 “3년 연속 한국 인구가 감소했다”며 밝힌 수치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 한국 주민등록 인구는 5143만9038명으로, 2021년(5163만8809명)보다 20만명 가까이 줄었다. 같은 달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동향’에선 지난해 1월~11월 누적 인구 자연감소분이 10만7004명이었다. 한 달(기간)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두 기관 통계 수치는 왜 다른 걸까.

월별 출생·사망자 수 그래픽 이미지. 자료 : 통계청
주민등록인구·총인구서 차이
다만 5년 이상 거주지를 등록하지 않은 장기 거주불명자는 제외된다. 이번 조사에서도 19만9771명(감소) 중 출생·사망 등 자연적 요인에 의한 인구 감소는 11만8003명, 장기 거주불명자는 10만1938명이 해당했다.
이와는 달리 통계청이 집계하는 총인구는 국내에 거주하는지를 중심으로 조사된다. 일정 시점과 일정 지역 내 사는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한국인이어도 국내에 거주하지 않고, 해외로 나가 있으면 제외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거주 여부와 관계없이 등록된 내국인과 재외국민을 포함하는 주민등록인구와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잠을 자고 있는 신생아의 모습. [사진 픽사베이]](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2/04/4e613ce7-680b-49b2-b980-807c7bd91f1a.jpg)
잠을 자고 있는 신생아의 모습. [사진 픽사베이]
인구 절벽 현실화 우려 공통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감소) 수치가 보여주는 만큼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드는 현상은 국가 명운을 뒤흔들 수 있는 문제”라며 “위기의식을 갖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에서 2021년 10월 지정한 인구감소지역 현황. 자료 : 행정안전부
‘생활인구’ 측정 중요성 대두
인구학자인 조영대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센서스 방식(각종 행정자료를 활용한 조사)의 총인구 수치는 ‘사는 사람’을 기준으로 하지만, 실제론 그보다 인구가 더 적을 수 있다”며 “(행안부의) 주민등록인구 조사로도 실제 현황을 확인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행정인구가 아닌 생활인구에 초점을 맞추는 게 인구 정책 등에 있어 중요한 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