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금융‧신한지주‧우리금융지주‧하나금융지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16조8084억원이다. 2021년 기록했던 14조8860억원보다 12.9% 증가한 수치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금융권이 역대급 실적을 거두면서 배당 확대 등 주주 환원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중이다.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기준 약 25% 수준인 배당성향(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의 비율)을 장기적으로 30%까지 높이려고 하고 있다. 신한금융은 보통주 자본비율(부채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 12%를 넘는 이익은 주주에게 환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4대 금융지주 배당성향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각 사, 한국투자증권]](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2/06/f1e9313f-6841-4925-8e98-d25162a9aad3.jpg)
4대 금융지주 배당성향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각 사, 한국투자증권]
금융업계는 주주의 배당 확대 요구와 동시에, 자본 건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금융당국의 압박을 받아 왔다. 금융당국은 앞서 코로나19 발생 이후 은행권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배당 자제까지 권고하기도 했다. 금융위원회는 은행권 손실 흡수 능력을 키우기 위해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을 도입하는 내용의 은행업 감독규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주식회사는 주주에 대한 환원 노력을 해야 하고, 이미 자본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당국이 더욱 강한 조치를 요구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당국이 우선 신경 쓰는 건 배당보다 어려운 경제 등 불확실성이 많다는 점”이라며 “배당 문제는 부차적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금융업 전반에서 정부의 입김이 강해지면서, 업계는 당국의 눈치를 전보다 더 심하게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금융위 업무보고를 듣고 “은행은 민영화된 기업이지만, 그 자체가 하나의 공공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엔 대출·예금 금리 결정, 일부 금융지주 최고경영자 인선 과정 등에 대해서도 금융당국 수장의 공개 발언이 이어지기도 했다.
오는 7일부터 은행권은 지난해 결산 실적과 주주 환원 정책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7일에는 KB금융지주, 8일 신한지주와 우리금융지주, 9일에는 하나금융지주가 실적 발표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