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통신은 8일 김정은이 북한군 창군 75주년을 앞두고 군 장령(장성)들의 숙소를 찾았다면서 "존경하는 자제분과 함께 도착했다"고 전했다. 통신이 '존경하는 자제분'이라고 언급한 인물은 김정은의 딸 김주애다. 북한이 이날 함께 공개한 사진에는 부인 이설주도 동행한 모습이 담겼지만, 통신은 이름을 언급하진 않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딸 김주애와 함께 건군절(2월 8일) 75주년 기념연회에 참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8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주애가 김정은의 공개활동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해 11월 18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발사현장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냈고, 같은 달 26일 김정은이 ICBM 시험발사 공로자들과 기념촬영을 진행한 행사가 두 번째였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11월 18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발사에 참여했던 공로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사진은 기념촬영에 동행한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장창하 국방과학원장과 악수하는 모습. 조선중앙TV캡처=연합뉴스
오경섭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김주애를 통해 4대 세습을 감행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대내외에 발신하고 있다"며 "앞으로 김주애가 후계자에 임명될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북한 국내정치에서 상당히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정은은 이날 숙소 방문 후 진행한 건군절 기념연회에서 남측이나 미국을 자극하는 메시지를 자제하는 대신 '계승'을 강조한 연설을 했다. 그는 "후손만대를 위해 우리는 참으로 많은 고통과 아픔을 감내하며 마침내 위대하고 절대적인 힘을 키웠다"고 밝혔다. '후손만대'는 김주애로 대표되는 '후대'를, '위대하고 절대적인 힘'은 핵무력을 지칭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선인민군 창건(건군절) 75돌을 맞으며 2월7일 인민군 장령(장성)들의 숙소를 축하 방문하고 기념연회에 참석했다"고 8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사진은 인민군 장령들 앞에서 연설하는 김 위원장. 노동신문=뉴스1
일각에선 김정은이 열병식을 앞두고 자극적인 발언을 자제한 것과 관련해 열병식에서 내놓을 메시지에 대한 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라는 해석도 나온다.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는 "김정은이 열병식 개최를 앞두고 대외보다는 대내 메시지에 방점을 둔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만약 열병식을 계기로 북한 주민들 앞에서 연설을 진행한다면 연말 전원회의에서 밝힌 핵무력이나 대적투쟁과 같은 자극적인 대외메시지를 발신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김정은은 지난 6일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에서 '전쟁준비태세 완비'와 '전투훈련 확대'를 지시했고, 미사일을 전담하는 조직인 미사일총국을 정규편제로 운용하고 있다는 점을 관영 매체를 통해 사실상 의도적으로 노출한 바 있어 이런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지난 6일 당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열린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8기 제4차확대회의장 석상에 앉은 김 위원장 뒤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싸일(미사일)총국'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깃발이 식별됐다. 조선중앙TV 캡처=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