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3월 16일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가 실시 중인 가운데 경기도 파주시에서 주한미군 장병이 기관총으로 교전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백서에서 상당 규모로 지상군 정원을 줄인 배경을 짚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당장 현역병을 줄이지 않는 대신 미 본토의 예비군을 줄이기 위한 예비 조치적 성격이 있다는 점에서다. 미군 입장에선 모병의 어려움과 유지비용 등 예산 측면을 따졌을 때 예비 전력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세계 경찰’을 자임해온 미군의 해외 임무도 크게 변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선 특히 한반도 유사시 미 본토에서 증파될 병력 규모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본다.

지난달 18일 오후 경북 포항에 있는 한 항만에서 미군 장갑차와 각종 장비가 이동 준비를 하고 있다. 뉴스1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도 병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정원까지 줄이면 TPFDD 상 증원 계획은 현실과 맞지 않는다”며 “편제라 해도 지상군 병력이 감축되는 건 한국에 결코 좋은 신호가 아니다”고 말했다.
전문가 사이에선 “오는 11월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주한미군 감축론과 맞물려 더 큰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달 24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에서 열린 예비선거 전야 파티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전반적으로 미국이 대외 개입을 위한 해외 주둔을 축소하는 상황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 더 거칠고 즉각적이며 즉흥적인 방식으로 이런 움직임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특히 한국에 대해선 방위비 분담과 연계해 주한미군 축소 문제를 꺼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