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여당 지도부 구성을 둘러싼 핵심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언제 전당대회를 열어 새 대표를 선출할지’가 첫째다. 차기 전대 시기는 새 비대위 구성 여부 및 성격과 맞닿아있다. 한동훈 비대위 해체 후 나흘간 당에서는 “윤 원내대표 중심으로 비대위를 꾸려 전당대회를 준비하고 6월 말~7월 초에 가급적 빨리 전당대회를 열자”(수도권 당선자)는 ‘6말 7초 조기전대론’이 제기됐다. 이럴 경우 새 비대위는 전대 추진을 위한 징검다리 성격의 ‘실무형 비대위’가 될 공산이 크다.
비대위를 건너 뛰고 조기 전대를 열자는 ‘비대위 무용론’도 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벌써 세 차례(주호영·정진석·한동훈)나 비대위를 띄웠는데, 전대 준비만을 위한 비대위는 의미가 없다”(여권 관계자)는 것이다. 이럴 경우 윤 권한대행이 직함을 유지하며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전준위)를 가동할 수 있다. 아예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 전대 준비를 맡기는 방안도 가능하다. 2016년 국민의힘 전신인 새누리당은 20대 총선에 패배한 지 20일 만에 정진석 원내대표를 선출해 곧바로 조기 전대를 준비했다.
또 하나의 쟁점은 친윤·비윤 중 누가 당 주도권을 차지하느냐다. 비윤계는 2020년 21대 총선 참패 후의 김종인 비대위 전례를 들어 “전반적 당의 체질 개선을 시도한 ‘쇄신형 비대위’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당시 당명 교체, 대국민사과 등의 노력 끝에 국민의힘이 이듬해 서울·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서 재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총선 참패 후 비윤계로 분류되는 잠정적 당권 주자들은 “뼈를 깎는 성찰의 시간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나경원 당선인), “국정 기조 전면 혁신과 대전환 필요하다”(안철수 당선인)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전히 당내 적잖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친윤계는 쇄신과 국정 안정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기류다. 한 친윤계 중진은 통화에서 “아무리 그래도 정권이 3년 남았는데, 대통령 하는 일에 반기만 들어서야 국정 운영이 제대로 되겠느냐”며 “22대 당선자 중 절반 이상은 친윤 성향”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총선에서 친윤 주류 현역이 상당수 생환했고, 대통령실 참모 출신 인사들도 절반가량 당선됐으니 당 주도권을 비윤에 내주기 어렵다는 의미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원내대표 우선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당장 현실로 닥칠 가능성이 커진 특검 정국 등을 고려할 때 선출 절차가 간단한 원내대표를 먼저 세우는 것이 대야 협상에 유리하다는 주장이다. 경남 창원 마산합포에서 당선된 재선의 최형두 의원은 14일 “이제는 강력한 원내대표 중심으로 야당과 치열하게 협상하고 대통령실과도 긴밀하게 협의해야 한다. 당대표 혹은 비대위원장이라는 옥상옥 체제로는 신속 기민 정확하게 대응하기 어렵다”고 페이스북에 썼다. 친윤계 안팎에서는 “당 대표나 비대위원장은 비윤에 넘기더라도, 원내대표를 사수하면 특검 정국에서 최소한의 방어가 가능할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이날 당에서는 차기 원내대표 후보군으로 4선 김도읍, 3선 송석준·이철규·추경호 등 중진 이름이 거론됐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통화에서 “내일(15일) 중진 모임 의제 중 하나는 원내대표 선출 여부가 될 것”이라며 “중진들이 대략적인 틀을 잡고 당선자 총회에서 보다 구체적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