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의존도가 80%대에 달했던 이전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중국산 요소는 2019년 89.3%, 2020년 88.5%, 2021년 83.4%, 2022년 71.7%, 2023년 88.1% 등 매년 전체 수입량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해왔다. 2021년 11월 중국발(發) 요소수 대란이 벌어졌지만, 이후에도 중국 의존 현상은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올해 중국산 비중이 크게 떨어진 것은 중국을 대신한 제3국으로부터의 요소 수입이 연초에 집중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중국은 ‘내수 시장 안정’을 이유로 통관 과정에서 요소 수출을 제한했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정부와 업계는 베트남·일본 등에서 요소를 대량 들여왔다. 그 결과 올해 1분기 기준 요소 수입국이 예년과 비교해 다양해질 수 있었던 것이다.
정부는 중국에 대한 자원 의존도를 계속해서 낮추겠다는 입장이지만, 요소수 업계에선 이같은 흐름이 지속할지에 회의적인 분위기다. 중국산 요소의 가격 경쟁력이 다른 나라보다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역통계상 각국 수출량 대비 수출액을 산출해보니 중국산 요소는 ㎏당 0.418달러인 반면, 베트남산은 0.442달러, 일본산은 0.59달러로 더 비싸게 나타났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중국산 비중이 다시 자연스럽게 커질 수밖에 없다고 예상한다. 요소 뿐만 아니라 화학 비료에 쓰이는 인산이암모늄, 디스플레이 제조에 활용되는 갈륨, 음극재 핵심소재인 흑연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다른 주요 자원들에도 해당되는 얘기다. 익명을 원한 업계 관계자는 “업계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가격 경쟁력도 좋고 물류적으로도 가까운 중국산을 쓰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며 “강력한 인센티브 없인 중국산 이외의 요소를 선택하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날부로 한국에서 발효된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공급망 협정(필라2)도 ‘제2의 요소 대란’을 막는 데 기여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공급망 위기 발생 시 미국·일본·호주·베트남 등 14개 회원국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위기 대응 네트워크’를 가동해 대체 공급처와 운송 경로를 찾고, 신속한 통관을 진행하는 것이 골자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산업공급망 정책을 지원하는 공급망 통상정책이 필요한바, 이에 따른 IPEF 공급망 협정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