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먹거리 물가, 2년여 만에 OECD 평균 추월…35개국 중 3위

 

21일 오후 서울의 한 마트를 찾은 시민이 사과를 구매하고 있다. 뉴스1

21일 오후 서울의 한 마트를 찾은 시민이 사과를 구매하고 있다. 뉴스1

 
한국의 2월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2년여 만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을 넘어섰다.  

21일 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월 한국의 ‘식료품ㆍ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6.95%로 OECD 평균치(5.32%)를 웃돌았다. OECD 평균을 넘어선 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상승 폭도 가파르다.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 튀르키예(71.12%)와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주요국의 먹거리 물가는 우크라이나ㆍ러시아 전쟁 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잦아들면서 정상 궤도에 들어섰지만, 한국은 여전히 과일ㆍ채소 중심으로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는 게 특징이다.  


전 세계 식료품ㆍ비주류음료 물가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불씨가 돼 급등했다. 러시아는 밀과 천연가스 수출국인데다 우크라이나는 세계 3~5위권 밀 수출국이기 때문이다. 전쟁 여파에 각국 에너지 가격은 뛰고 먹거리 인플레이션이 나타났다.  

실제 2021년 말 5~6% 수준이던 OECD 회원국의 평균 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2년 3월 10%를 넘어섰고 같은 해 11월엔 16.19%까지 치솟았다. 한국의 물가는 같은 기간 3~7% 수준에 머물렀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OECD와 한국의 희비는 엇갈렸다. OECD의 평균 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10%를 하회한 이후 하락세가 뚜렷해졌다. 반면 한국은 지난해 7월 3.81%를 기록한 이후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10월 7.09%까지 치솟았다. 이후에도 5~7%대를 유지하더니 올해 2월엔 OECD 평균을 추월한 6.95%를 기록했다. 

한국의 물가 상승률을 견인한 건 과일값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사과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88.2% 올랐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같은 기간 배(전년 동월 대비 87.8%)ㆍ귤값(68.4%)도 크게 뛰었다. 

문제는 먹거리 물가뿐 아니라 최근 고환율(원화값 하락)ㆍ고유가에 하반기 2%대 물가 전망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정부는 올해 물가 상승률이 2.6%로 수렴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9일 기자들과 미국 워싱턴DC에서 만나 “지정학적 긴장이 올라가서 불확실성이 커진 것은 맞지만, 하반기에 2%대 초중반으로 하향 안정화된다는 (기존) 전망은 유효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