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50플러스재단이 주최한 장년 일자리 박람회에서 이력서 쓰는 장년 구직자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06/16/f2bdd531-8e47-477b-9904-324d59943049.jpg)
서울시50플러스재단이 주최한 장년 일자리 박람회에서 이력서 쓰는 장년 구직자들. [연합뉴스]
서울시는 16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인구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인구정책 기본계획은 서울시가 인구 변화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역동적인 사회·경제 유지 차원에서 5년마다 수립한다. 이번 계획은 저출산·고령화 추세에 맞춰 4대 분야 30개 과제를 담았다.
서울시, 인구정책 기본계획 발표
![연도별 외국 인력 도입 규모.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06/16/9028075a-fda9-4bde-867a-cd29c0e6d9c5.jpg)
연도별 외국 인력 도입 규모. [뉴스1]
![저출산 대책 중 난임 시술과 이에 대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29일 서울 송파구 잠실 차병원 난임센터 연구원들이 난자 미세정자주입술(ICSI)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06/16/1af1143a-428f-48f1-8835-ce9b91f5088f.jpg)
저출산 대책 중 난임 시술과 이에 대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29일 서울 송파구 잠실 차병원 난임센터 연구원들이 난자 미세정자주입술(ICSI)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시 공간도 재활용한다. 이와 관련, 8개 서울 폐교 부지에 노인·요양 시설 건립을 추진한다. 이서진 서울시 창의행정담당관은 “현재 폐교는 교육청 부지라 서울시가 활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향후 교육청과 협의해 폐교 부지를 지자체 소유로 전환하면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인 기준 60∼80세 유연 적용 검토
![서울 강동구 시립강동실버케어센터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수희 강동구청장이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06/16/6e6a5cbb-d961-49f4-85d3-0fee6d0a7576.jpg)
서울 강동구 시립강동실버케어센터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수희 강동구청장이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와 함께 오는 9월까지 서울의료원에 혈액·검체 이송 로봇을 도입하고 올해 안에 서울어린이병원에 재활치료 로봇과 인프라를 구축한다.
양육 환경 분위기도 조성한다. 직장어린이집 개설 등 육아 친화 제도를 운용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자영업자·프리랜서 임산부에 출산급여 90만원을 추가 지원하고,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단계적으로 아이 돌봄비 사업 등 양육지원 사업의 소득 기준 폐지를 추진한다.
서울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55명으로, 전 세계에서도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2013년 8만4066명이던 서울 출생아 수는 지난해 3만9400명으로 반 토막 났다.
![서울 마포구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부캠퍼스에서 열린 '다시 뛰는 중장년 서울런 4050 기자설명회'에 참석한 오세훈 서울시장. [뉴시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06/16/439c9c2b-bc41-4d73-8564-7e1f5707b40a.jpg)
서울 마포구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부캠퍼스에서 열린 '다시 뛰는 중장년 서울런 4050 기자설명회'에 참석한 오세훈 서울시장. [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인구변화 대응을 위해 기업 문화를 비롯해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이 중요하다”며 “서울시 인구정책 기본계획이 새로운 관점에서 인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효과가 있는 인구 정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