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박 전 의원의 전문성이 변수로 꼽힌다. 과학기술계가 반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 과학계 인사는 “의원 시절 관련 상임위 등에서 일했다고는 하지만 행시 출신인 박 전 의원의 이력을 보면 서울시 공무원, 서초구청장 등 행정 전문가에 가깝다”며 “R&D(연구·개발) 삭감 논란 등 과학계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과학계를 속속들이 잘 아는 인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정부 출범 후 2년간 장관직을 맡은 분들”을 개각 대상으로 언급했다. 이종호 과기부, 한화진 환경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해당한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의료개혁 이슈를 끌고 가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나 화성 화재 사건 등을 책임지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은 6~7월에 교체할 가능성이 낮다”고 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면전환용으로 한꺼번에 개각하기보다는 7월부터 교체 필요성이 있는 부처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개각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장관급인 방기선 국무조정실장도 검증 대상에 포함됐다. 여권 관계자는 “방 실장도 개각 자원으로 검증 중”이라며 “이동 부처 등을 말할 단계는 아니다”고 전했다. 후임 국무조정실장으로는 김완섭 전 기획재정부 2차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취임 2년이 다 돼 가는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과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교체할 가능성이 크다. 한 위원장 후임으로는 윤수현 소비자원 원장과 조홍선 공정위 부위원장이, 김 위원장 후임으로는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과 김태현 국민연금이사장이 각각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