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17일 정부·의료계에 따르면 각 수련병원은 이날까지 보건복지부 장관 직속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에 구체적인 전공의 결원 규모와 신규 모집 인원을 확정, 제출해야 한다. 수평위 사무국이 결원·정원 인원 등을 검증한 뒤, 22일부터 본격적인 하반기 모집 일정에 들어간다.
병원들, '하반기 모집' 기한 맞춰 결원 규모 확정
정부가 각 병원에 15일까지 전공의 사직 처리 등을 마감하라고 했지만, 복귀한 전공의 규모는 여전히 극소수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6일 기준 전국 211개 수련병원의 전공의 출근율은 8.4%(1157명)였다. 출근자는 전일 대비 2명만 늘었고, 정부가 복귀 대책을 발표한 8일과 비교해도 62명 증가에 그쳤다. 여전히 1만2000명가량의 전공의가 떠나있는 셈이다. 많은 전공의는 '단일대오'를 유지하면서 복귀·사직 여부를 묻는 병원 공지에 아예 답하지 않았다.
복귀 극소수, '빅5' 미응답자 일괄 사직 처리
삼성서울병원은 17일 오후 미응답 전공의 전원에 일괄 사직 처리한다는 안내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서울성모병원 등도 이날 미응답 전공의들을 모두 사직 처리하기로 했다. 이들 병원은 대부분 사직서 수리 시점을 이달 15일 자로 잡았다. 이날 늦게까지 추가 공지를 통해 사직 여부를 확인한 서울대병원도 미응답 전공의 일괄 사직 원칙을 확정했다. 다만 일부 병원은 미응답 전공의의 실제 의사를 확인할 수 없다면서 사직 처리를 보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런 기류 속에 사직 처리된 레지던트 규모도 15일을 기점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16일 기준 전국 수련병원의 사직 레지던트 수는 1302명(사직률 12.4%)으로 집계됐다. 하루 전(86명)과 비교하면 1216명 늘어난 것이다. 빅5 병원의 레지던트 사직자 수도 732명으로 증가했다. 하루 새 716명 급증하면서 사직률이 38.1%로 올랐다.
의료계 반발 여전…전공의 대표 "법적 대응"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소셜 미디어에 "전공의를 병원의 소모품으로 치부하며 노동력을 착취하려는 병원장들의 행태가 개탄스럽다"면서 "전공의들의 노동권을 침해한 병원장에 대해 형사 고발·민사 소송 등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는 글을 올렸다. 의대 교수 단체에선 연일 사직 처리 방식·시점을 두고 '일방적 결정은 안 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