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신임 당 대표 인선이 5일 최고위원회 의결을 통해 마무리 된다. ‘한동훈 표’ 당 쇄신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르게 되는 상황에서 원외 대표라는 한계와 반한(反韓) 세력의 견제라는 암초는 여전히 내재돼 있다.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한 대표는 5일 지명직 최고위원에 친한(친한동훈)계 김종혁 전 조직부총장을 지명할 예정이다. 전략기획부총장엔 전당대회 당시 캠프 총괄상황실장을 맡았던 '전략통' 신지호 전 의원이 사실상 내정됐다. 신임 홍보본부장은 장서정 전 비상대책위원이 맡게 될 전망이다. 대변인단에는 친한계로 분류되는 한지아 의원이 수석대변인으로, 정광재 캠프 대변인이 선임대변인으로 합류한다. 황우여 비대위에서 임명된 곽규택 수석대변인도 유임된다.
여의도연구원장에는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 시절 임명된 홍영림 전 원장의 재신임 가능성이 크다. 대신 종전 여의도연구원의 기능을 민심 파악과 민생 정책 개발, 청년 지원 등 3가지 부문으로 분리해 운영하겠다는 복안인 만큼, 부위원장 2~3명이 추가 임명될 수 있다.
앞서 한 대표는 핵심 당직인 사무총장에 친한계 서범수 의원을 기용했고, 비서실장으로는 역시 친한계인 박정하 의원을 임명했다. 이어 친윤계 정점식 전 정책위의장 후임에 대구·경북(TK) 지역 4선인 김상훈 의원을 내정했다.
'친 한동훈' 인사 중용으로 확실한 당 내 우군을 확보한 한 대표는 ‘변화’에 방점을 찍고 본격적인 당 쇄신에 박차를 가할 태세다. 전당대회 때부터 예고한 지구당 부활,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포기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지구당 부활 이슈는 ‘정치 기득권 타파’라는 명목에서 한 대표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슈 중 하나다. 지구당은 국회의원 선거구별로 사무실을 두고 후원금도 받으며 당원을 관리하는 정당 지역 조직이다. 1962년 정당법이 제정되면서 도입됐다가, 2002년 일명 ‘차떼기’로 불리는 불법 대선자금 사건 이후 2004년 폐지됐다.
한 대표는 “20년 전에는 지구당 폐지가 ‘정치개혁’이었다면, 지금은 기득권의 벽을 깨고 정치 신인과 청년들에게 현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지구당을 부활하는 것이 ‘정치개혁’”이라 주장하고 있다. 친윤계에선 차기 대권 가도를 위해 당을 자기 조직으로 바꾸려 한다며 경계하고 있다.
한 대표는 당선 직후부터 공개 석상이나 자신의 SNS를 통해 민생 이슈나 국민적 공분이 인 이슈를 연일 언급하며 정책 이슈에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적용 유예 기간 2년 추가 연장 등 당론으로 정한 민생 법안에 대한 정책 드라이브가 대표적 예다.
다만 한 대표의 이 같은 정책 드라이브가 순조롭게 진행될지엔 당 안팎에서 우려도 제기된다. 각종 입법의 경우 여야 대치 상황에서 원외 당 대표로서 리더십의 한계가 노출될 수도 있다. 또 '지구당 폐지'문제는 한 대표와 차기 대선 후보 직을 겨룰 당내 인사들 중에도 반대 목소리가 적지 않다. 최근엔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 국민의힘 소속 시·도지사 12명이 협의회를 발족하고 당정 협의 참여를 요구하며 한 대표 견제에 나섰다. 한 대표는 지난 3일 TV조선 프로그램 ‘강적들’에 출연해 “전례가 없는 것이어서 잘 상의해보겠다”면서도 “정당은 정치 세력이고 지자체장은 기본적으로 행정이다. 상식적 공정성을 지켜야 하는 부분이 있지 않나”라고 했다.
익명을 원한 여권의 중진 의원은 중앙일보에 “반한(反韓)을 보듬고 관계 설정을 잘 해 운용의 묘를 발휘하는 게 관건”이라며 “정치인 한동훈의 시험대는 이제 시작”이라고 말했다. 5일 인선을 마무리하는 한 대표는 다음 주 중진 의원들과의 연쇄 오찬 회동 등을 통해 당내 소통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