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학생과 학부모의 민원 때문에 에어컨을 안 켤 수도 없고, 교실이 쾌적해야 선생님과 학생의 마찰도 적다”며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수록 학교 살림살이는 빠듯해지기 때문에 시설 수리 등을 하고 싶어도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방학에도 냉방”…찜통더위에 요금 폭탄 맞은 학교
서울 강남구 B초등학교 교장은 “여름방학에도 방과 후 활동과 학교 업무를 위한 기본적인 냉방이 필요하다”며 “학기 중처럼 전체적인 냉방은 아니어도 전력 소비를 큰 폭으로 줄이기는 어렵다”고 했다. 이 학교는 학교 기본 운영비의 10%가 넘는 금액인 연 8000~9000만원을 전기요금으로 내고 있다.
“덥거나 추우면 민원…교실 몰아서 자습”
이런 현실 속에 학교의 전기요금 부담은 최근 2년 새 50% 가까이 급등했다. 지난해 전국 공립 유치원, 공·사립 초·중·고와 특수학교가 낸 전기요금은 총 6969억 원으로 2021년(4758억 원)보다 2211억 원(46.5%) 늘었다. 지역별로는 제주(52.9%)에 이어 세종(51.9%), 경기(49.8%), 부산(49.2%) 등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학교들은 자구책을 찾고 있다. 대전의 한 고등학교 교장은 “이 주변 학교들은 자율 학습을 각 반에서 에어컨을 켜고 하는 게 아니라, 학생들을 한 교실에 몰아서 시킨다”며 “전기요금은 지난해 이미 올랐고 다른 물가도 비싸졌기 때문에 올해 공공요금이 작년과 비슷하게만 나와도 학교 입장에선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교육용 요금 낮추자” “전력 효율 높이는 게 합리적”
이에 지난해 기준 kWh당 138.8원인 교육용 전기요금 판매단가를 농사용(75.1원) 수준으로 낮추자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한국전력공사(한전)의 40조 원대 누적적자를 해소하려면 전기요금을 인하할 여력은 크지 않다는 평가다. 한전 관계자는 “2014년부터 교육용 전기요금에 특례할인을 적용해 이미 요금이 낮은 수준이며, 추가 인하는 전력 다소비 등 비효율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교육용 전기요금을 낮추면 그 부담을 다른 주체가 져야 하는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각 학교에서 한전의 전력 효율화 지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노후 장비 교체, 태양광 발전기 설치 등 전력 효율을 높이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