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에선 고령 근로자를 야근·주말근무 같은 특정 유형 업무에서 제외하는 규정이 모든 기업에 적용된다. 젊은 직원들보다 체력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배려한 조치다. 기업들은 별다른 불만이 없다. 핵심 근무시간으로 정해놓은 특정 시간대에 제대로 근무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미국과 영국은 일찌감치 정년 제도를 폐지했다. 미국은 1967년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해고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고용상 연령차별금지법(ADEA)’을 도입했다. 이력서에 나이를 기재하는 것도 금지다. 영국은 2006년 고용 평등 규칙을 제정하며 채용부터 계약 종료까지 전 과정에서 연령 차별을 금지했다.
한국처럼 호봉제를 택하는 일본도 일찌감치 고령자 채용을 확대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2013년 일본은 65세 이상 고용을 의무화해 기업들이 60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하거나, 65세까지 계속고용제도(재고용) 혹은 정년 폐지를 선택하도록 했다. 2021년엔 직원이 원하면 70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기업이 노력하라는 ‘노력 의무’도 추가했다. 특히, 일본에선 ‘재고용’ 방식이 효과를 내고 있다. 일본 기업의 76.4%(2019년 기준)가 고령자를 재고용했는데, 이들은 정년 이전 대비 평균 70% 수준의 임금을 받는다.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년 연장은 이전 근로 조건 유지라는 부담이 있지만, 재고용은 아예 새로운 조건으로 계약을 맺는다”며 “고령자는 개인 여건이 따라서 근로 방식을 조정할 수 있고 기업도 인건비 부담을 덜 수 있어 만족도가 높다”라고 말했다.
세계에서 정년이 가장 짧은 중국도 최근 정년 제도를 손보기로 했다. 지난달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선 ‘자발적이고 탄력적으로 법정 정년 연장 개혁을 추진할 계획’이 논의됐다. 현재 중국은 남성 60세, 여성 50세를 법정 정년으로 한다.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인 중국도 2022년부터 인구 감소세에 접어들자 기존 인력의 근로 기간을 늘리는 데 눈을 돌린 것이다.
이들 국가의 또 다른 특징은 노동 시장이 한국보다 유연하다는 점이다. 영국은 2003년 도입한 유연근무제가 고령 인력 활성화의 밑거름이 됐다. 이승호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영국은 근로자가 근로시간 단축, 근로장소 변경 등 전반적인 근로 조건을 변경을 요구할 수 있다”며 “이는 여러 기업에서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고령자 고용 모델을 도입할 수 있는 바탕이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