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오후 인천 연수구 송도동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 전기차 충전소에 전기차 화재 예방법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배터리 제조사는 완충 상태의 배터리는 덜 충전된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재 위험이 높다고 본다. 업계 관계자는 12일 “배터리 셀의 충전율이 높다는 것은 인위적으로 어딘가에서 에너지를 뽑아 셀에 저장해놓은 것이라 불안정한 상태로 볼 수 있다”라며 “이럴 때 배터리의 음극과 양극 간 전위 차가 발생하기에 이를 분리막으로 차단해 안전성을 보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터리 화재는 배터리셀 내부에서 나뭇가지 형태로 달라붙는 결정체인 덴드라이트가 발생하며 분리막이 찢어지면서 발생한다. 배터리 제조사는 충전율을 30~80% 사이에서 관리하는 게 안전하다고 본다.
전문가들도 다수는 완충 배터리가 상대적으로 화재에 취약하다고 본다.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배터리를 충전하면 할수록 양극에 있는 리튬이 음극으로 들어가면서 불안정성이 높아진다”며 “이 때문에 곧바로 화재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말할 순 없지만, 충전할 수록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화재 위험도 같이 증가한다”라고 말했다.

지난 8일 인천 서구 청라동의 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에서 지난 1일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로 인해 불에 탄 차량을 지게차가 들어올리고 있다. 뉴스1
완성차 업계 “내구마진 때문에 96%만 충전 가능”
완성차·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공장 제조 단계에서의 배터리 성능과 전기차 탑재 이후 성능엔 차이가 있다. 제조단계에서 완전 방전시 0%, 완전 충전시 100%라 할 때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된 뒤엔 2~96%만 쓰도록 설정된다는 것이다. 전기차 패널에 ‘100% 충전’이라고 뜨더라도 실제 배터리 충전량은 96%고, 0%로 뜨면 실제로는 2%는 남아있다는 의미다. 국내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최대 충전량과 실제 충전량 차이를 내구 마진(차이)이라고 한다. 이 마진을 두는 이유는 안전성 때문이라기보다는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지 않기 위한 ‘내구성’ 유지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완성차 업체들은 완충과 화재는 큰 관련이 없다고도 본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화재의 원인으로 과충전을 얘기하는데, 현대차·기아 전기차는 과충전으로 화재가 발생한 사례가 없다”고 말했다. 대신 배터리 불량을 주요 원인으로 본다. 이 때문에 완성차 업계는 서울시 등이 제시한 충전율 90% 기준이 과학적인 규제는 아니라고 본다.

12일 서울 강남구의 한 공영주차장에 전기차 화재 대비 리튬이온배터리 전용 소화기가 설치돼 있다. 강남구는 관내 공영주차장 56개 가운데 전기차 화재 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크게 이어질 수 있는 옥내 주차장 20개소 전체에 질식소화포 22개를 설치했다. 질식소화포는 화재 발생 시 차량을 덮어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유독가스 확산을 막는 초기 진압 장비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