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을 택한 가입자는 올해 2분기 말 기준 565만1000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말(478만9000명)보다 18% 증가했다. 가입자 수가 증가하면서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잔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32조9095억원에 이른다.
디폴트옵션은 개인이 운용 책임을 지는 확정기여(DC)형·개인형 퇴직연금(IRP)에서 상품 만기가 도래한 이후에도 가입자가 적립금 운용 방법을 추가로 지시하지 않으면, 사전에 정한 방식대로 자금을 자동으로 굴리는 제도다. 정부는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을 통해 퇴직연금 수익률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난해 7월 12일 도입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디폴트옵션 상품의 1년 평균 수익률은 10.8%다. 지난해 말 원리금보장형 상품으로 굴린 전체 퇴직연금 상품의 평균 수익률(연 4.08%)보다 높다.
하지만 디폴트옵션 성적표를 위험등급 상품별로 따져보면 수익률은 저조하다. 전체 가입자의 약 87%(487만명)가 은행 예금 같은 원리금보장형 상품에 퇴직연금을 묻어두는 ‘초저위험’ 등급에 몰려있어서다. 뒤를 이어 저위험(31만명), 중위험(27만명), 고위험(18만명) 등 위험 등급이 높아질수록 가입자 수는 줄었다. 10명 중 1명 정도만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실적배당형(원리금 비보장)을 택했다는 의미다.
수익률은 실적배당형 상품이 높다. 중ㆍ고위험 등급 상품의 1년 수익률은 연 12% 이상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저위험 상품은 연 7.51%다. 하지만 디폴트옵션 가입자의 87%가 몰린 초저위험 상품의 1년 평균 수익률은 연 3.47%에 그쳤다.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해선, 디폴트옵션 운영 방식을 일부 손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한국의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이 발달한 미국 등 선진국의 디폴트옵션 제도를 벤치마킹했지만, 디폴트옵션에 원리금 보장 상품을 포함한 곳은 한국과 일본뿐이다.
국민연금연구원의 유호선 연구원은 “제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디폴트옵션에 원리금 보장상품의 편입을 제한하고, 디폴트로 운영될 상품은 선진국처럼 개인이 아닌 전문가가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본부장도 “디폴트옵션 제도 취지에 맞도록 가입자가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