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중심이던 외국인 노동시장의 지형이 바뀌고 있다. 구인난을 겪는 산업계의 외국인 수요가 늘면서, 네팔‧라오스 등 아시아 곳곳에서 노동자가 역대 최다 규모로 입국하고 있다.
13일 법무부 출입국 통계를 보면, 지난해 비전문 취업(E-9) 비자 입국자는 총 16만8755명으로 전년보다 3만3588명(25%) 증가했다. 국내 입국하는 취업 목적 비자는 크게 전문인력(E-1~7)과 비숙련 인력으로 구분하는 E-9, 한국계 중국인이 대다수인 방문취업(H-2) 등이 있다. 이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E-9 입국자는 2019년 15만1116명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4만1992명, 2021년 1만6732명으로 급감한 이후 지난해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올해 상반기 E9 입국자는 이미 9만명을 넘었다.
네팔 57%, 라오스 428% 증가
외국인 고용이 전체적으로 늘면서 중국인의 비중은 줄고, 여타 아시아 국가 출신은 커지고 있다. 한국계 중국인이 많은 H-2 입국자의 경우 지난해 7만7479명으로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25만655명 대비 70% 감소했다. 전체 상주 외국인 인구 중 H-2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15.2%에서 지난해 6.1%로 9.1%포인트 하락했다.
다양해진 국내 기업 선호도
아시아 각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하는 근로자가 늘어난 데는 국내 기업의 선호가 큰 영향을 미친다. 고용허가제 쿼터 안에서 국내 사업주가 희망하는 국가 출신의 근로자를 채용할 수 있는 구조기 때문이다. 오기환 고용부 외국인력담당관은 “기존에 외국인이 많이 진출해 있는 제조업 분야에서 아시아 국가 출신 근로자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미 채용해 함께 일하며 좋은 경험이 있거나, 하는 일과 잘 맞다고 생각하는 국가의 근로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류 등의 영향으로 한국 취업에 대한 아시아 국가의 관심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
국내 산업에서 외국인력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향후 15년 뒤 생산연령인구 비율이 하락하며 노동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때가 올 것”이라며 “성급하게 이주정책을 펴기보다, 노동 부족 상황을 모니터하면서 정책 개입의 시점을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