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안 가요" 신용대출 95%가 비대면…금융권은 수퍼앱 경쟁

 서울시내 은행 대출창구에서 시민이 상담을 받고 있다. 뉴스1

서울시내 은행 대출창구에서 시민이 상담을 받고 있다. 뉴스1

주요 금융그룹이 디지털·비대면 분야를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플랫폼 고도화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예‧적금에서부터 펀드·대출에 이르기까지 비대면으로 상품에 가입하는 비중도 급증하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하나은행에서 취급된 신용대출(11만6000여건) 가운데 95%(11만909건)가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이용한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같은 기간 펀드(81.7%)와 예·적금(68.6%) 가입자 대부분도 디지털을 이용했다.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이용자는 지난해 4분기 4690명에서 올해 1분기 8237명, 2분기 1만1817명으로 증가세다.  

다른 주요 은행도 비대면이 대세다. 상반기 기준 우리은행의 신규 적립식예금 가입자의 95.7%가 비대면으로 이뤄졌다. 펀드(89.1%)·거치식예금(87.0%)·신용대출(86.3%) 신규 가입자도 비대면을 통해 유입됐다. 같은 기간 NH농협은행의 저축성예금(75.1%)과 신용대출(69.9%) 상품 상당수가 비대면으로 판매됐다. 신한은행도 적금(87%)·신용대출(81%)·예금(66%) 상품 순으로 비대면 신규 가입자 비율이 높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비대면 대출 상품 금리가 낮은 경우도 있어 영업점 창구 직원이 앱을 이용한 금융상품 가입을 안내한다”며 “고객들은 이미 앱을 은행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한 시민이 스마트폰 대출비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금리 비교를 시작하고 있다. 뉴스1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한 시민이 스마트폰 대출비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금리 비교를 시작하고 있다. 뉴스1

은행이 비대면 전환에 속도를 내는 건 이익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점포 운영 비용을 아낄 수 있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상담으로 인건비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또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금융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데다, 비대면 상품 판매 수수료 수입을 늘리면서 이자이익 의존도는 낮출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이에 주요 은행은 하나의 앱으로 금융·비금융 업무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수퍼앱’ 구축에 분주하다. 스마트폰에 수퍼앱 하나만 깔면 다른 금융 계열사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은행·보험·증권·카드 등 금융 서비스를 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현재는 주요 금융계열사 앱을 통합하는 작업이 1차 수퍼앱의 형태다. 중장기적으로는 빅테크들처럼 플랫폼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생활 금융 수퍼앱’을 목표로 한다. 기존 금융업을 넘어 음식 배달, 쇼핑, 예매와 같은 라이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사가 되겠다는 계획이다.

수퍼앱을 통한 모바일뱅킹 가입자와 월간활성화이용자 수(MAU·한 달간 1회 이상 앱을 사용한 이용자 수)가 증가하면 디지털 전환 작업에 필수적인 데이터 확보로 이어진다. 최근 은행들이 자체 모바일뱅킹 앱에 비금융 서비스를 탑재하면서 고객 경험을 넓히고 있는데, 플랫폼 안에서 활동시간을 늘리는 이른바 락인(Lock-in) 효과를 유도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서울의 한 건물에 설치된 은행 ATM기. 연합뉴스

서울의 한 건물에 설치된 은행 ATM기. 연합뉴스

 
예컨대 KB금융은 KB스타뱅킹을 통해 은행과 계열사의 주요 금융 기능은 물론 국민지갑(신분·증명·결제 등 실물 지갑 대체 서비스)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KB스타뱅킹의 MAU는 1240만명에 달한다. 하나금융은 주요 계열사의 대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원큐 가입자 수가 1609만명, 하나페이는 835만명이 넘는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말 흩어진 계열사 앱의 주요기능을 통합한 ‘슈퍼 SOL’을 선보였고 이용자는 480만명을 넘어섰다. 우리금융은 오는 11월 수퍼앱 출시를 준비 중이며, 농협금융도 ‘NH올원뱅크’를 중심으로 한 수퍼 플랫폼 전략을 짜고 있다.

이시은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시중 은행의 수퍼앱 진출은 앱 단일화를 통한 금융 서비스 관련 고객 편익 증가에 의의가 있다”면서 “만능에 집중하기보다는 명확한 방향성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이 수퍼앱으로 경쟁력을 키우면서 메신저와 플랫폼을 기반으로 금융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카카오나 네이버와 같은 IT업체와의 경쟁도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는 금융사에 좀 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카카오페이의 고객 신용정보 유출 사건 등으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 강화가 점쳐져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