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5일 “‘전기차 충전 제한’ 조치는 시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왜 충전을 제한해야 하는지 시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겠다"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충전 제한 조치가 재산권 침해 등 문제가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시민 안전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12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에 외부 전기차 지하주차장 출입금지 현수막이 걸려있다. 서울시는 최근 아파트 등에서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자 완충차량 지하주차장 출입금지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08/16/3050005a-5f63-4c14-ab8a-8d7630f93fbd.jpg)
지난 12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에 외부 전기차 지하주차장 출입금지 현수막이 걸려있다. 서울시는 최근 아파트 등에서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자 완충차량 지하주차장 출입금지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는 지하주차장 충전기를 지상으로 옮기는 것도 단기간에 이루기 힘들다고 한다. 막대한 예산이 들고 지상에 주차장이 없는 아파트 단지가 많아서다. 특히 최근에 지은 아파트 단지에는 지상 주차장이 거의 없다. 또 지하주차장 내 격리 방화벽 구획을 두는 방안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하려면 건축물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데다 주차면 감소 등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충전 제한 정책이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세부기준과 실행방안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지난 12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고정형 전기차 충전기에 운영 중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08/16/667fb26c-6b3e-4403-9e5d-de232a7a758e.jpg)
지난 12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고정형 전기차 충전기에 운영 중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