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5일 충북 충주의 한 농가에서 농민들이 정부에 쌀 가격 보장을 촉구하며 논을 갈아엎고 있다. 연합뉴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24년 쌀 예상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은 365만 7000t이다. 지난해 쌀 생산량(370만 2000t)보다 4만5000t 줄었다(-1.2%). 정부가 지난해 추산한 올해 연간 쌀 수요량은 360만7000t이다. 5만t가량 초과 수요가 발생할 전망이다.
문제는 정부가 농가소득 보전과 식량 안보 등을 이유로 남는 쌀을 사들여(공공비축) 수습하는 과정을 반복한다는 점이다. 공공비축 물량은 2021년까지 35만t 내외를 유지하다 2022년 45만t, 2023년 40만t, 올해 45만t으로 다소 늘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정부가 비축한 쌀 재고 물량은 121만t으로 나타났다.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가 권고한 한국 비축 물량(80만t)의 1.5배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올해 말 재고량이 140만t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김주원 기자
쌀이 남아도는데 쌀을 수입해야 하는 점도 아이러니다. 정부는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며 쌀 시장 개방을 미루는 대가로 일정 물량을 5% 관세율로 수입해왔다. 수입 쿼터에 따른 올해 1~8월 쌀 수입량은 25만2000t에 달한다. 전년 동기(16만2000t) 대비 54.9% 늘었다.
상황이 이런데도 야당은 21대 국회 때 밀어붙였다가 대통령의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로 수포가 된 양곡관리법을 개정해 다시 가을 국회에 올릴 예정이다. 개정안은 기존 양곡법보다 의무매입 기준을 완화했지만, 쌀값이 기준가격 미만으로 떨어지면 그 차액의 일부를 농가에 지급하는 내용이 골자다. 농식품부는 “양곡법을 시행할 경우 2030년 쌀 매입·보관비용으로 3조원 이상 들어간다”며 반대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반복되는 쌀 과잉 생산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재배면적 감축, 다양한 쌀 생산체계 전환, 쌀 가공식품 신규 수요 창출을 포함해 11월까지 쌀 산업 발전을 위한 근본 대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