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셔터스톡
33세 여성 김모씨는 어릴 때부터 월경이 불규칙하고 월경통이 심했다. 20대에는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지난해 혼인 후 임신 계획을 세우면서부터 치료 방법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근본적으로 여성호르몬 불균형 문제라는 걸 깨닫고 주변에서 추천한 영양제를 챙겨 먹으며 관리 중이지만, 혹시 모를 부작용에 대한 걱정도 떨치기 어렵다.
김씨처럼 여성 건강에 있어 호르몬 균형의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균형을 되찾아야 하는지 혼란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 여성호르몬 치료는 주로 폐경기 여성에게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난임 치료, 월경불순 개선, 피임 등의 목적에도 다양하게 쓰인다. 여성호르몬은 월경·임신·수유뿐 아니라, 골밀도, 심혈관 건강 등 거의 여성의 신체 전반에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호르몬 치료는 그 목적에 따라 방식도 먹거나 바르는 약, 질정 혹은 주사·패치 등으로 다양하다. 여성호르몬 치료를 고려하면 좋은 경우와 주의사항을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구승엽 교수의 도움말을 바탕으로 정리했다.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구승엽 교수. 사진 서울대병원
폐경기 증상 개선
이럴 때 여성호르몬을 보충하는 호르몬 대체요법을 활용하면 증상이 완화되고, 골밀도가 개선돼 골다공증 예방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에스트로겐을 단독으로 장시간 투여하면 자궁내막의 성장이 촉진돼 자궁내막암 등이 유발될 수 있으나, 프로게스테론을 함께 사용하면 예방할 수 있다.
자궁내막증 치료

여성호르몬 분비 체계. 자료 서울대병원
가임력 보존
"호르몬제, 비타민처럼 복용은 위험"
구 교수는 "무월경, 자궁내막증, 갱년기 증상 등 여성 건강에 문제가 생겼다면 내분비 전공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해 자신의 상황에 최적화된 호르몬 치료 계획을 세우고, 추적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