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일 국회에서 열린 당시 김용현 국방장관 후보자(현 국방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추미애 의원은 김 후보자를 향해 계엄 의혹 관련 질문을 던졌다.
추 의원은 “윤 대통령과 김 후보자는 충암고 선후배 사이지 않나”라고 물었다. 이어 남동 공관에서 이진우 수방사령관과 곽종근 특전사령관, 여인형 방첩사령관과 회동을 한 것을 거론하며 “계엄령 대비를 위한 친정 체제를 구축 중이고 김 후보자의 용도도 그것이라는 얘기가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또 “후보자를 중심으로 대통령실과 국방부, 방첩사, 수방사가 하나의 라인으로 구축될 수 있다”며 “해당 기관들이 조직의 부패와 권한 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사정 기능을 담당해야 하는데 일심동체가 된다면 군 내부 견제와 균형이 무너진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앞서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이 계엄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했던 일도 재조명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8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차지철 스타일의 야당 '입틀막' 국방부 장관으로의 갑작스러운 교체는 국지전과 북풍(北風) 조성을 염두에 둔 계엄령 준비 작전이라는 것이 저의 근거 있는 확신"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여당은 이러한 야당의 계엄 의혹이 현실적이지 않다면서 일축했었다.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9월 2일 김용현 장관 청문회 당시 “현 사회 체제 구조라든지 모든 것을 비춰 봤을 때, 계엄이라고 하는 게 실질적으로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하냐”며 “과거 정부에 있었던 문건을 가지고 현 정부에다가 그대로 대비를 해서 일어날 수도 있는 것처럼 국민을 선동 또는 불안에 떨게 하는 부분은 사실에 근거해서 말씀을 하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도 “엄령이 발령된다고 하더라도 국회에서 재적의원 과반수만 안 된다고 하면 끝나는 것이다. 그런데 계엄령, 계엄령 하는 걸 보면 황당하다”고 언급했다.
당시 후보자였던 김 장관도 “계엄 문제와 관련해서 대한민국의 상황에서 과연 계엄을 한다고 하면 어떤 국민이 용납을 하겠냐”며 “솔직히 저는 (계엄 선포 시) 우리 군도 안 따를 것 같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계엄 문제는 시대적으로 안 맞으니 너무 우려 안 하셔도 될 것 같다”고 단언했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오후 11시경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것은 1987년 민주화 이후 44년 만이었다. 계엄이 선포되면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등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비상계엄령의 선포는 대통령의 권한이나 국회 재적 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으면 계엄의 해제를 요구할 수 있고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여 해제를 선언해야 한다. 4일 새벽 국회의원 190명은 국회 본회의장에 모여 계엄해제를 의결했고,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6시간 만인 4일 오전 계엄 해제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