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최근 6세 이하 영유아를 중심으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입원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4일 감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와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최근 4주간(10월27일~11월23일) 발생한 RSV 감염증 입원환자는 총 631명으로, 이 중 영유아(0~6세)가 547명(86.7%)을 차지했다. 구체적으로는 1~6세 374명(59.3%), 0세 173명(27.4%), 7-12세 31명(4.9%), 65세 이상 30명(4.8%) 순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RSV 감염증은 급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주로 10월에서 다음해 3월 사이 유행하며,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비말이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220곳을 대상으로 한 표본감시 결과, 최근 4주간 입원환자 수는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1897명보다 낮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581명보다는 다소 증가한 상황이다. 하지만 11월 1주 79명이었던 것이 2주 122명, 3주 182명, 4주 248명으로 가파르게 늘고 있다.
RSV 감염증은 영아의 경우 콧물·인두염 등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해 1~3일 후 기침·쌕쌕거림으로 이어진다. 대부분 자연 회복되지만, 일부 영유아·면역저하자·고령자는 폐렴 등 하기도 감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특히 산후조리원이나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는 감염예방을 위해 호흡기 증상이 있는 종사자나 영유아의 경우 출근 및 등원, 입소 자제하고 집에서 휴식할 것을 권고한다.
지영미질병관리청장은 “지난해부터 코로나19 대유행기 동안 환자 발생이 크지 않았던 백일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등 다양한 호흡기 감염병이 소아 및 청소년 연령대에서 유행하고 있다”며 “호흡기 감염병은 나이가 어릴수록 중증 합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호흡기 증상이 있는 신생아 및 영아는 신속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가정에서 각별히 주의해 달라”고 말했다.
이어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는 신생아 접촉 전후 손씻기,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이나 방문객 출입제한 등 감염관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