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은 4일(현지시간)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한국은 일본, 호주, 뉴질랜드와 함께 우리 인도·태평양 파트너십의 일부이므로 향후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매우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에게 한국과 관계는 매우 중요하고 철통같다"며 "그것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뤼터 사무총장은 '나토가 한국과 같은 중요한 동맹의 비민주적인 행동을 비판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먼저 한국 국민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고만 답했다.
전날 스테판 뒤자리크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우리는 한국의 상황을 매우 면밀히, 우려하면서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뒤자리크 대변인은 이날 미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상황이 빠르게 변하고 있어 현재 시점에선 이렇게 밖에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지난 3일 뉴욕 유엔 본부에서 총회 전체회의가 열리는 모습. AF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12/04/68946503-5138-4936-826c-514e171ecfe8.jpg)
지난 3일 뉴욕 유엔 본부에서 총회 전체회의가 열리는 모습. AFP=연합뉴스
유럽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유럽연합(EU)은 이날 대변인을 통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독일 외무부는 X(옛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한국에서의 상황을 큰 우려를 갖고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며 "민주주의는 승리해야 한다"고 썼다.
영국 외무부는 캐서린 웨스트 인도태평양 담당 부장관 명의로 낸 성명에서 "3일 한국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해 깊이 우려하며 우리는 한국 법률과 헌법에 따라 이 상황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한다"고 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도 현지 언론에 "한국의 상황을 우려하며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12/04/b97bdf62-c434-43c9-b8c4-adc90ad7c71b.jpg)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로이터=연합뉴스
이후 4일 오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나토 외교장관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한국 계엄 사태 관련, 지난 3월 서울에서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개최한 것은 결과적으로 실수였냐는 취지의 질문에 블링컨 장관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현과 민주적 회복성(resilience)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사례”라고 말했다.
다만 예상치 못한 사태에 미 정치권도 술렁이고 있다. 미국의 소리(VOA)에 따르면 공화당의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한국은 역동적인 민주주의 국가로서 입법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차기 정권에서 국무장관으로 지명됐다.
민주당의 팀 케인 상원의원은 이번 사태와 관련 "정치적 반대 세력과의 갈등은 보통 정치적인 영역 안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민주당의 앤디 김 하원의원은 이날 성명에서 "이런 방식으로 계엄을 선포한 것은 국민 통치의 근본적 토대를 훼손하고 국민이 안보와 안정을 누려야 할 시기에 한국의 취약성을 극적으로 높였다"고 비판했다. 차기 트럼프 정권의 최고 실세로 꼽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X를 통해 "충격적"이란 반응을 보였다.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X에 올린 한국의 계엄령 선포 관련 반응. 사진 X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12/04/bd6edb13-5faa-4595-9235-1aa30a2b50ce.jpg)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X에 올린 한국의 계엄령 선포 관련 반응. 사진 X 캡처
각국 정부는 한국을 찾을 예정이거나 체류 중인 자국민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영국 총리실 부대변인은 이날 "한국의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다"며 "한국 내 영국 국민은 여행 안전 권고 사항의 변경 내용을 살펴보고, 현지 당국 조언을 따르길 권고한다"고 밝혔다. 영국 외무부는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에서) 정치적 시위를 피하라"는 내용의 '여행 안전 권고'를 발령했다.
주한 미국대사관은 한국의 비상계엄 철회 후인 4일 "상황은 여전히 유동적"이라며 "미국 시민과 비자 신청자를 위한 정기 영사 일정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사관 직원은 재택근무를 최대화하고 미 대사관 자녀의 학교 출석을 제한하라"고 당부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이날 "윤 대통령이 계엄령 해제를 선포하며 한국 사회 질서는 정상으로 돌아왔다"면서도 "중국 국민은 경계를 늦추지 말고 현지의 정세를 예의주시하며 안전 의식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번 사태의 여파로 외교 일정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당초 5일 방한이 예정돼 있던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의 방한이 무기한 연기됐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내년 1월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방한해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 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었지만, 이번 사태로 일정 변경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