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경합동상황실 운영 위한 사전 현장 확인
5일 양구군에 따르면 지난 4일 새벽 0시10분쯤 3군단 예하 21사단 소속 군인들이 양구군청 지하에 있는 통합방위상황실과 별관 3층에 있는 CCTV관제센터를 찾았다고 한다.
당시 상황은 이렇다. 윤 대통령이 전날 오후 10시23분쯤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21사단 관계자가 양구군에 전화를 걸어 “통합방위법에 따라 현장 확인차 군청에 있는 상황실과 CCTV관제센터를 찾겠다”고 통보했다.
이후 1시간 20분 뒤인 4일 새벽 0시10분쯤 군 관계자 6명이 상황실과 CCTV관제센터를 방문했다. 상황실엔 4명, CCTV관제센터엔 2명이 머물렀다. 이들은 군인 복장은 갖췄지만, 무장은 하지 않은 상태였다고 한다.
국회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가결 이후 철수
3군단 관계자는 “경계태세가 발령되면 통합방위법에 의거 행정관서에 군경합동상황실을 설치해야 하는데 사전에 현장을 확인하기 위해 부대 관계자들이 방문했던 것”이라며 “상황실 운영을 위해 필요한 물품 등을 확인하는 과정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인제군에 있는 3군단 예하 12사단은 군경합동상황실을 구성하기 위한 준비는 했으나 군청을 직접 찾아가 사전 현장 확인을 하지는 않았다. 대신 유선으로 군청 상황실 시설을 확인했다고 한다. 21사단과 12사단 등 3군단 예하 부대는 이날 비상대기에 돌입했다가 비상계엄 해제 후 대기 태세를 해제했다.
이런 가운데 접경지역인 인제군 주민들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군부대에서 사이렌이 울리면서 불안에 떨어야 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되자 군부대에서 1분가량 사이렌이 울렸고, 안내방송이 흘러나왔다고 한다. 이에 집에서 잠자던 주민들이 놀라 밖으로 뛰어나와 상황을 살폈다. 이후 갑자기 차량 수백 대가 서화리에 있는 군부대로 복귀하면서 주민들 사이에 불안감이 커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