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분석 결과, 올해 가을은 9월 초부터 매우 높은 고온으로 시작해 전반적으로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이어졌다. 기상청은 “우리나라 주변 상공에 맑은 가을 날씨를 선사하는 이동성 고기압이 자주 지나가면서 강한 햇볕으로 인한 일사량이 늘었고, 우리나라 남쪽으로부터 따뜻한 공기가 자주 유입돼 기온이 크게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서울은 1948년 이후 76년 만에 9월 폭염이 발생했다. 강원도 춘천의 경우 이 지역에서 기상관측을 시작한 1966년 이래 첫 9월 열대야가 관측됐다. 높은 기온이 11월 중순까지 이어지면서, 첫서리와 첫 얼음도 평년보다 늦게 관측돼 단풍도 늦게 물들기 시작했다. 올해 첫서리는 11월 6일 북춘천ㆍ서울ㆍ대전 등에서 나타났다. 북춘천에서는 첫서리가 평년보다 16일 늦게, 서울에서는 9일 늦게 관측됐다.
부산 9월 최악 폭우, 서울 11월 최악 폭설
9월 20~21일 제14호 태풍 ‘풀라산’이 약화한 열대저압부의 영향으로 이틀간 전국적으로 많은 강수가 집중됐고, 11월 1~2일에는 제21호 태풍 ‘콩레이’에서 변질된 온대저기압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9월 21일 창원·부산·거제에서는 하루 만에 각각 397.7㎜, 378.5㎜, 348.2㎜의 폭우가 쏟아지며 9월 기준 각 지역 하루 강수량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충남 서산, 충북 청주, 전북 장수·군산에서도 9월 일강수량 최고 기록이 경신됐다. 11월 1일에는 제주(238.4㎜) 지역에서 11월 일강수량이 역대 1위를 다시 썼다.
10월은 가장 자주 비가 내린 달로 기록됐다. 10월 강수일수는 11일로 역대 1위를 기록했다. 평년 10월 강수일수보다는 5.1일 많았다.
11월 하순에는 첫눈이 역대급 폭설로 내렸다. 11월 27일 서울은 하루 동안 내려 쌓인 눈(일최심신적설)이 19.3cm를 기록하며, 11월 최고 기록을 세웠다. 수원과 인천도 각각 32.3㎝, 19.4㎝로 일최심신적설 최고치를 경신했다. 서울·수원·인천은 28일 누적된 적설(일최심적설) 기록도 각각 28.6㎝, 43㎝, 26㎝로 11월 누적 적설로 가장 높은 값을 기록했다.
해수온도도 최고치…기상청장 “겨울 이상기후 대비”
기상청은 올가을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 온도는 23.6도로 최근 10년 평균(21.1도)보다 2.5도 높았다고 밝혔다. 이는 10년 이상 관측된 한반도 연근해 17개 지점 평균으로, 역대 가장 높은 기록이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올 9월은 폭염이 발생할 정도로 더웠고, 11월 말에는 기록적인 폭설이 내리는 등 기후변화로 인해 예전과 다른 계절을 경험하고 있다”며 “기후 변동성이 커진 만큼 올 겨울철에도 이상기후가 단시간에 급격히 나타날 수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감시와 분석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