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차장은 6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윤 대통령으로부터 당일 이 같은 지시를 직접 받았다고 밝혔다고 민주당 김병기 간사가 전했다.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비상계엄관련 현안보고를 마치고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12/06/65e51be1-248a-40ef-ac3f-4d71a7ebe396.jpg)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비상계엄관련 현안보고를 마치고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
홍 차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발표 직후인 지난 3일 오후 10시 53분쯤 그에게 전화해 "국정원에도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 우선 방첩사령부를 도와 지원하라"면서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우라"고 지시했다.
이후 홍 차장은 육사 선후배 관계인 여인형 방첩사령관과 여러 차례 전화 통화를 했다. 여 사령관은 처음 통화를 기피하는 분위기였지만 "윤 대통령에게 방첩사를 지원하라는 전화를 받았다"고 전하자, "일단 국회는 경찰을 통해 봉쇄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여 사령관은 "선배님이 이걸 도와달라"면서 "체포조가 있는데 소재 파악이 안 된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검거 지원을 요청한다"는 말과 함께 이 대표와 한 대표 등이 적힌 정치인 명단을 불러줬다고 했다. 홍 차장은 이 명단에 우원식 국회의장,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 박찬대 원내대표, 정청래 의원,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방송인 김어준, 김명수 전 대법관, 김민웅 전 교수 등도 포함됐다고 밝혔다.
또 통화 과정에서 여 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들을) 방첩사 예하에 있는 구금 시설에 구금해 조사할 예정이다"라는 말을 들었으며, 이런 지시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다고 홍 차장은 덧붙였다.
홍 차장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체포 지시를 이행하지 않아 경질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홍 차장은 "대통령 경질 지시를 받고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주장했으나, 국정원은 경질 지시가 없었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