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루 앞둔 6일 전방위 공격에 나섰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윤석열 내란 사태 관련 특별 성명’을 발표하면서 “위헌·불법 행위로 주권자의 생명을 위협한 대통령에게 한순간이라도 국정 운영을 맡길 수 없다”며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직무에서 배제하고 그 직의 유지 여부를 우리 국민의 판단과 결정에 맡겨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윤 대통령을 “국가 내란 범죄 수괴”로, 계엄령 선포를 “반란 행위이자 친위 쿠데타”로 규정했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은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것처럼 여야의 정쟁 대상이 아니다. 5200만 우리 국민의 안위와 대한민국의 존속, 미래가 달린 문제”라고도 했다.
민주당은 당초 7일 오후 7시로 예정했던 표결 시점을 오후 5시로 앞당겨 혹시 있을지 모르는 여당의 ‘지연 전략’에 대비 중이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김건희 특검법과 윤 대통령 탄핵안 2개 안건을 처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며 “탄핵안이 먼저 올라가니 여러 공방도 있고, (여당이) 지연 전략도 쓸 수 있어 좀 여유롭게 당기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기류 변화와 함께 ‘확실한 탄핵’을 기대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전날 국민의힘 소장파 의원들이 대통령의 사과와 임기단축 개헌 필요성을 제기한 데 이어, 이날 조경태·안철수 의원 등이 공개적으로 탄핵안 찬성 입장을 밝히자 민주당에서 “간신히 가결되는 것이 아니라, 여유롭게 가결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흘러나왔다. 윤 대통령 탄핵 가결(200표)에는 최소 8표 이상의 국민의힘 찬성표가 필요하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소돔당’이 안 됐으면 좋겠다. 의로운 결정을 하는 10명의 여당 의원들을 기대한다”며 “최대한 확실하게, 확실하게 탄핵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오후 3시쯤 ‘윤 대통령이 국회를 방문한다’는 소문이 돌았을 때도 민주당은 크게 들썩였다. 김민석 최고위원이 “윤 대통령이 국회에 올 경우, 법적으로는 경호를 위해 오는 경호처를 포함한 군 동원이 가능하다”고 추가 계엄 가능성을 경고했다. 국회 과방위 회의 중이던 민주당 의원들은 “절대로 대통령에게 접근하지 말라”(노종면 의원), “비정상적인 상황”(최민희 위원장)이라고 발언했다. 박성준 원내수석은 기자들에게 “내란 수괴 윤 대통령이 어떻게 국회를 오나. 용납할 수 없고, 당장 체포해서 탄핵하는 게 유일한 길”이라고도 했다. 일부 의원들은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 나란히 서서 ‘인간 띠’를 짜고 기다리기도 했으나 윤 대통령은 오지 않았고, 대통령실은 “국회에 갈 계획이 전혀 없었다”고 전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의총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탄핵안 추진을 만장일치로 당론 의결했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이 장관은 국회 행안위에 나와서까지 대통령의 정당한 권한행사였다고 옹호했고, 계엄사령관 임명에 동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이 지난 6월 본회의에서 단독 의결했던 이 장관 탄핵안은 헌재에서 기각됐다.
당 법률위원회는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윤석열이 주도한 내란죄의 공범’으로 적시해 이날 국가수사본부에 고발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추 원내대표가) 불법 계엄이 선포된 긴박한 상황에서 자당의 국회의원을 국회가 아닌 당사로 유인하고 혼란을 부추겨 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을 방해했다”며 “국회의장에게 시간을 달라며 표결 연기를 요청한 정황도 보도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추 원내대표 측은 시간대별 상황을 공개하며 “허위 주장과 보도에 대해 추후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반박했다.